삼성전자 2023년 임원/직원 연봉

삼성전자 최근 3년간 임직원 숫자 변화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최근 3년간 삼성전자 직원 1인당 평균 연봉 임원 1인당 평균 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그 추세가 어떤지도 살펴보려고 합니다.

삼성전자 최근 3년간 임직원 숫자 변화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최근 3년간 삼성전자 직원 1인당 평균 연봉 임원 1인당 평균 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그 추세가 어떤지도 살펴보려고 합니다.

삼성전자 직원의 평균 연봉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3년 사업보고서에 의하면 삼성전자 총 직원의 숫자는 12만 4,207명으로 전년 대비 3,380명이 증가하였습니다. 1인당 평균 연봉은 1억 1,657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그러나 인원수가 증가한 것을 감안한다면 (연차가 낮은 신입/경력사원이 증가) 기존 사원들의 평균연봉은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하지 않았을까 추측됩니다.

최근 3년간 (’21~’23년) 평균 Data를 보면 직원수는 약 11.9만명, 근속연수는 12.4년,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 2,831만원입니다.

이제 삼성전자 임원 관련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임원수는 ’23년말 기준 총 1,015명입니다. 임원 숫자만 천명에 달하는 큰 조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임원의 1인당 평균 연봉도 약 6.9억원 수준으로 ’22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신규로 선임된 초임임원 숫자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반적인 연봉은 상승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작년 12월 삼성전자 임원인사 관련한 기사 등 정보를 찾아보면, 삼성전자는 연말 임원인사에서 부사장 59명, 상무 107명, 펠로우 2명, 마스터 19명 등 총 187명을 승진 발령했다고 합니다. 상무만 107명이니 신규로 선임된 임원숫자만 107명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년 대비 97명이 증가하였으니, 아마도 퇴임임원은 약 10명 수준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최근 3년 평균 임원의 숫자는 955명으로 9백명 초반까지 감소하다가 작년 연말에 대규모 임원 승진을 단행하면서 임원숫자가 1천명을 넘은 것으로 보입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연관 글

삼성전자 임원 직원 1인당 평균 연봉 (’20년, ’21년, ’22년)

삼성전자 임원 직원 1인당 평균 연봉

삼성전자의 최근 3년간 직원, 임원 숫자의 변화를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최근 3년간 삼성전자 직원 1인당 평균 연봉 및 임원 평균 연봉 및 증감의 추세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계산결과 삼성전자 1인당 평균 연봉은 1.3억원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삼성전자의 최근 3년간 직원, 임원 숫자의 변화를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최근 3년간 삼성전자 직원 1인당 평균 연봉 및 임원 평균 연봉을 알아보고 그 증감의 추세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1인당 평균 연봉은 1.3억원 수준으로 우리나라 최고의 기업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직원 수 및 1인 평균 연봉

삼성전자 직원 수는 최근 3년간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약 10만 8,880명 이었습니다. 그러나 2021년에는 11만명을 넘었고, 2022년에는 12만명 수준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연간 총 급여 액도 13조원에서 2022년에 지급된 규모는 15.6조원으로 상당히 증가하였습니다. 단순하게 사람 숫자로 나눠 계산한 1인 평균 연봉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1인 평균 연봉 은 1억 2천만원, 2021년 평균 연봉은 1억 4천만원, 2022년 평균 연봉은 1억 3천만원 수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표는 삼성전자 공시자료의 숫자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삼성전자 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약 12.3년 입니다. 다음으로 삼성전자 임원 수와 평균 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임원 평균연봉

삼성전자 임원수와 평균연봉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전자 임원의 숫자는 약 938명입니다(최근 3년 평균). 삼성전자 미등기임원의 연도별 숫자를 보면 2020년말 기준 964명에서 2021년 933명으로 31명 감소하였고, 2022년은 918명으로 21년대비 15명 감소하였습니다.

연간 급여총액은 총 7천억원 수준으로 1인당 평균 급여액으로 계산해보면 2020년 기준 1인당 7.4억원입니다. 2021년은 7.7억원입니다. 2022년은 7억원 수준입니다. 매년 평균 급여액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인원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평균 급여액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급여가 높은 임원들의 퇴직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삼성전자 배당 히스토리 내역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우리나라 대표기업인 삼성전자는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최근 주가 66,000원 기준으로 볼 때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2.19% 수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표기업인 삼성전자는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보통주와 우선주로 구분되어 있으나, 보통주/우선주의 배당금액이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보통주 기준으로 삼성전자 배당 히스토리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삼성전자의 최근 주가 66,000원 기준으로 볼 때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2.19% 수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배당

’23년 삼성전자 배당 히스토리 (3분기, 4분기 추정 포함)

삼성전자의 ’23년 3분기 배당금액은 아직 미정입니다. 만약 작년과 동일한 배당금을 지급한다면 10월 중순 이후 결정된 사항이 공시될 것으로 보이구요, 주당 361원이 지급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4분기도 동일하게 주당 361원이 지급된다면 연간 1주당 총 1,444원의 배당금액이 지급될 것입니다. 최근 삼성전자 주가 66,000원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2.19%를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정 11/24] 최근 삼성전자 주가 72,400원 기준 시간 배당수익률은 약 1.99% 예상됩니다.

(업데이트 후)

삼성전자 23년 배당 히스토리

(업데이트 전)

삼성전자 배당

삼성전자 2022년 히스토리

삼성전자의 2022년 배당 히스토리를 살펴보면 분기당 361원씩 지급하였고, 연간 총 1,444원을 지급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작년 연말 배당락일 전일자 주가를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배당수익률은 2.49% 였습니다.

삼성전자 배당 히스토리

삼성전자 2021년 배당 히스토리

삼성전자의 2021년 배당 히스토리도 분기당 361원을 지급했습니다. 연간 주당 총 1,444원을 지급했구요. ’21년 12월 28일자 종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배당수익률은 1.80% 였습니다.

삼성전자 배당 히스토리

삼성전자 2020년 배당 히스토리

삼성전자의 2020년 배당은 좀 특별했습니다. 2020년 4분기에는 특별배당이 있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주주환원계획을 3년 단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2018~2020년 주주환원정책에서는 3년간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50%를 주주환원재원으로 활용하여 매년 총 9.6조원 수준의 정규배당을 하고, 잔여재원이 있으면 추가 배당한다고 하였는데, 당시 잔여 재원이 약 10.7조원이 있어서 이를 2020년 4분기에 추가로 지급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0년에는 삼성전자의 주당 배당금액이 총 2,994원 지급이 되었습니다. 2020년 12월 28일자 기준 주가로 계산해보면 배당수익률은 3.80%를 기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당시 배당 관련 참고기사 : 이건희 삼성 회장 지난해 배당액만 8644억…50대 그룹 총수 배당의 절반

[다른 배당주의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 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 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수정일

주식투자 기초용어 정리 -(3)PBR

PER(주가수익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은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주가수익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은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BR (Price Book Value Ratio)

PBR의 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BR = 주식가격 / 주당 순자산

일단 순자산의 개념을 보면 기업의 재산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상태표(구. 대차대조표)에 있는 총 자산에서 총 부채를 차감한 것입니다. 즉, 전체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부채성이라고 생각되는 모든 것을 제외하고 남은 것이 순자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순자산이 계산되면 이 회사가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누면 주당 순자산이 얼마인지 산출되게 됩니다.

주식 가격을 주당 순자산으로 나누게 된다면 1단위의 순자산에 비해서 주가가 얼마인지 알 수 있게 됩니다. 만약 주식의 가격이 1만원인데 주당 순자산이 1만원이라면 PBR은 1이 산출되게 되는데요, 1의 의미는 회사의 순자산에 정확히 대응되는 규모로 주가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만약 회사를 지금 청산하여 모든 자산을 팔고, 모든 부채를 정리하고 남은 것들을 주주들에게 공평하게 배분한다고 가정할 때 1주당 정확히 1만원의 가치만큼 배정되어 청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지금 주가는 회사의 청산가치와 정확히 일치한다고 할 것입니다.

만약 PBR이 1보다 낮다면 지금 주가가는 회사를 청산했을 때 가치보다 낮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는 의미이므로 저평가 되어 있다고 일반적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만약 PBR이 1보다 높다면 지금 회사의 주가는 청산가치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구요. 업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는 PBR이 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성장성이 있는 주가라고 볼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최근 SK텔레콤의 PBR은 약 0.9배로 형성되어 있고, 삼성전자의 PBR은 1.4배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엄청난 시세를 보여주었던 에코프로는 PBR이 무려 16.7배로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PBR이 6.0배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에코프로의 PBR이 16.7배라는 것은 에코프로라는 회사의 순자산가치보다 16.7배 높은 수준에 주가가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즉 투자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서 주가를 엄청 올리고 있고, 그 결과 순자산의 16배 이상으로 거래가 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에코프로의 주가가 고평가다 아니다 이렇게 논하기는 어렵습니다. PBR 역시 상대가치를 보는 지표이므로 동종업계나 유사 기업들의 PBR을 같이 살펴보면서 그 가치를 스스로 평가해 보는 것이 주식의 가치를 생각하시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주식투자 기초용어 정리 : PER

주식투자 기초용어 정리 : ROE

Optimized by Optim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