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패드 프로 (iPad Pro) 라인업 (‘23.10월 기준)

아이패드프로 12.9형, 11형의 라인업을 꼼꼼히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특히 최근 3개 모델의 생김새를 비교하였으니 참고하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이패드를 구매하려고 고민 중이시라면 아래 글을 꼭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애플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최근 판매되고 있는 iPad Pro 의 크기 라인업 및 과거 3개 제품까지 비교하여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최저가 가격도 추천했으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애플 공식 홈페이지 iPad Pro 라인업 정리

아이패드 프로 12.9형 (6세대)

디자인 : 아이패드의 대화면에 있는 디자인을 잘 보고 구분해야 합니다.

아이패드 프로 12.9 (6세대)는 2022년 10월에 출시되었습니다. 아직은 신상.

동일 모델 아이패드 프로 12.9형 5세대는 ’21년 4월 출시, 동일 모델 아이패드 프로 12.9형 4세대는 ’20년 3월에 출시하였습니다.

과거 모델 디자인 (화면의 디자인으로 구분)

최근 모델인 아이패드프로 12.9형 6세대는 M2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5세대는 M1칩, 4세대는 A12Z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3개 모델 모두 USB C타입을 사용 중이나, 5세대/6세대는 썬더볼트/USB4를 지원하고 있어서 조금 더 빠른 충전이 가능합니다.

3개 모델 모두 FaceID를 사용하고 있어서 잠금 해제시 얼굴인증을 사용합니다.

3개 아이패드 모델 모두 애플펜슬 2세대(자석으로 부착하는 방식)을 지원합니다. 또한 매직키보드로 지원 합니다.

저장용량은 모두 128G/256G/512G/1TB 등 지원합니다. 일반인이라면 128G나 256G면 충분하리라 생각됩니다.

전면카메라의 경우, 5세대/6세대는 울트라 와이드 화각의 True Depth 카메라를 지원하고 있고, 12MP사진, 2배 줌아웃, 센터 스테이지(FaceTime, 줌 회의시 얼굴에 초점이 따라가는 기능)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이패드 프로 12.9형 6세대 (‘22.10월 출시) 128G, Wi-Fi 모델은 정가 173만원에서 약 10% 할인된 157만원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최저가 확인하러 가보기===>>>

아이패드 프로 12.9형 6세대 256G, Wi-Fi 모델은 정가 188만원에서 약 8% 할인된 172만원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최저가 확인하러 가보기 ===>>>

아이패드 프로 라인업

아이패드 프로 라인업

아이패드 프로 11형(4세대)

아이패드프로 12.9형의 크기가 부담스럽다면 이제 일반 아이패드 모델과 동일한 화면 크기인 아이패드 프로 11형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프로 11형은 최신 버전이 4세대입니다. 출시일은 ’22년 10월입니다. 신상이죠.

이전 동일 모델인 iPad Pro 11형 3세대는 ’21년 4월에 출시하였고, 그 전 동일 모델인 iPad Pro 11형 2세대는 ’20년 3월에 출시되었습니다.

디자인

iPad Pro 11형은 iPad Pro 12.9형 보다 화면 크기가 작습니다. 11형은 27.9cm인데, 12.9형은 32.8cm입니다. (화면의 대각선 길이입니다)

iPad Pro 11형 4세대 (최신) 버전은 iPad Pro 12.9 (6세대)와 동일하게 M2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카메라 성능, 동영상 기능, FaceID, 스피커, 애플펜슬 지원, 매직키보드 지원 등 모두 동일한 사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차이가 나는 것은 디스플레이 크기, 그리고 XDR 밝기입니다. 12.9형이 최대 1600니트까지 지원한다고 합니다. 사실상 크기 외에는 차이가 없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12.9형 : 가로 214.9mm / 세로 280.6mm / 두께 6.4mm / 무게 682g (wi-fi 모델 기준)

11형 : 가로 178.5mm / 세로 247.6mm / 두께 5.9mm / 무게 466g (wi-fi 모델 기준)

아이패드프로(iPad Pro) 11형 128G, Wi-Fi 모델은 정가 125만원에서 7% 할인된 116만원에 구입이 가능합니다. 최저가 확인하러 가보기 ====>>>>

아이패드프로(iPad Pro) 11형 256G, Wi-Fi 모델은 정가 140만원에서 7% 할인된 130만원에 구입이 가능합니다. 최저가 확인하러 가보기 ====>>>>

아이패드 프로 라인업 정리

아이패드 프로 12.9형이나 아이패드 프로 11형 모델은 아이패드 라인업 중에서 가장 고사양의 제품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는 제품입니다. 동영상 편집이나 고사양의 게임을 즐기시려는 분들은 프로 라인업의 구매가 좋을 것 같습니다. 프로라인업의 크기는 아무래도 12.9형이 좋으나 집 밖에 이동시에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면 11형을 구입하는게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집에서만 쓰신다면 화면이 큰 12.9형이 훨씬 좋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위 구입을 위한 추천 링크는 가장 저렴한 제품, 쿠팡에서 직배송하는 것을 골라서 추천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비교해 보기]

아이패드 10세대 및 9세대 ====>>>> 비교하러 가기

삼삼엠투 33m2 단기 방 임대 리모델링 한달살기

주변에 리모델링 하는 동안 집 구하는 분이 있는데요. 한 달동안 지낼 방을 구하지 못해서 고생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결국 삼삼엠투를 통해 집을 잘 구했습니다. 시스템이 간편해서 잘 지냈다고 하였습니다. 삼삼엠투가 무엇이고 어떻게 이용하는 건지 알아보았습니다.

주변에 리모델링 하는 동안 집 구하는 분이 있는데요. 한 달동안 지낼 방을 구하지 못해서 고생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결국 삼삼엠투를 통해 집을 잘 구했습니다. 시스템이 간편해서 잘 지냈다고 하였습니다. 삼삼엠투가 무엇이고 어떻게 이용하는 건지 알아보았습니다.

삼삼엠투 무엇?

삼삼엠투는 잠깐 살 집을 구할 때 이용하는 앱입니다. 비슷한 앱으로는 리브애니웨어가 있습니다. 집을 구하는 것은 부동산을 통하고 2년 계약을 하고 동사무소에 확정일자를 받고 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잠깐 사는 집을 이렇게 구하는 것은 번거롭고 중개사도 계약을 꺼립니다. 그래서 삼삼엠투에서는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1주일 이상 살 집을 구할 수 있습니다.

삼삼엠투 어떨 때 이용?

제 지인의 경우처럼 잠시 인테리어 공사를 하시는 분이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제주에서 한 달 살이 집을 구하시는 분들이 이용합니다. 또 대치동에서 방학 때 단기간 체류하는 분이 이용하기도 하고 대학병원에서 치료를 위해 단기간 서울 생활을 하시는 분도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일 때문에 한국에 체류하는 경우 숙박시설을 불편해 하면 단기임대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삼삼엠투 어떤 집이 나와있나 보러가기==>>

삼삼엠투 장점

1.원하는 기간만 계약

2년계약을 할 필요 없고 1주 이상이면 원하는 기간만 계약하면 됩니다.

2. 보증금 무조건 33만원

집 계약의 보증금은 거액이라 부담이 되는데요. 삼삼엠투에서는 모두 33만원입니다.

3. 부동산에 갈 필요가 없습니다.

앱으로 계약을 하므로 시간과 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허위매물이 없습니다.

임대인이 직접 매물을 등록하기 때문에 허위매물이 없습니다.

5. 임차인 보호

삼삼엠투가 보증금을 가지고 있다가 돌려줍니다. 입주를 해야 이용료가 임대인에게 건네집니다.

33m2 이런 점은 알아야

1.계약서를 작성 안 했다

서버에 단기임대 기록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분쟁시 자료 증빙이 가능합니다.

2. 전입신고는?

원칙적으로 전입신고는 불가능합니다.

3. 보증금은 언제 어떻게 돌려 받나?

퇴실 시 보증금 반환신청을 하면 임대인이 방상태 확인을 완료하면 2일 이내 삼삼엠투가 가지고 있던 보증금을 반환합니다.

4. 중개수수료 대신 계약 수수료 내야

임차인과 임대인 모두 부동산에 중개수수료를 내듯 계약 수수료를 삼삼엠투에 지불하며 보증금을 제외한 이용료의 9.9%이고 최대 40만원입니다.

KT 배당 히스토리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통신주는 대표적인 배당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KT(케이티, 030200)의 과거 배당 이력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최근 주가 기준의 시가배당수익률은 약 5.9%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통신주는 대표적인 배당주입니다. SK텔레콤 배당 이력과 비교하기 위하여 KT 배당 히스토리 살펴보려고 합니다. KT(케이티, 030200)는 다른 통신주와는 달리 여전히 연간 배당만 지급하고 있습니다. 즉 일 년에 한 번만 배당을 실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케이티 최근 주가 기준으로 계산한 시가배당수익률은 약 5.9%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KT 배당금 중기 주주환원 정책 분석 (’23~’25년), 발행일 2023-10-27

KT 배당 이력

KT 2023년 배당 히스토리 내역

케이티

’24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주당 1,960원의 배당을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24년에는 분기단위로 배당을 시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배당

KT 2022년 배당 히스토리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22022-12-312023-4-271,960원지급완료
3Q22
2Q22
1Q22
연간 배당금 합계1,960원
연말 주가(‘22.12.27) 36,300원 기준 : 배당수익률 5.40%

KT 배당 이력

케이티

KT 2021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12021-12-312022-4-271,910원지급완료
3Q21
2Q21
1Q21
연간 배당금 합계1,910원
연말 주가(‘21.12.28) 32,850원 기준 : 배당수익률 5.81%

KT 배당 이력

배당

KT 2020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02020-12-312021-4-271,350원지급완료
3Q20
2Q20
1Q20
연간 배당금 합계1,350원
연말 주가(‘21.12.28) 32,850원 기준 : 배당수익률 5.81%

KT 배당 이력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최종 수정일

도담삼봉 유람선 단양8경 단양가볼만한곳

단풍의 계절입니다. 단풍이 들면 유난히 예쁜 곳이 있는데요. 바로 단양8경입니다. 남한강과 기암괴석, 단풍의 조화는 말도 다 할 수 없습니다. 단양8경을 가장 가까이 보려면 도담삼봉유람선을 타면 됩니다. 가격과 시간, 코스, 탑승장소, 주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단풍의 계절입니다. 단풍이 들면 유난히 예쁜 곳이 있는데요. 바로 단양8경입니다. 남한강과 기암괴석, 단풍의 조화는 말도 다 할 수 없습니다. 단양8경을 가장 가까이 보려면 도담삼봉 유람선을 타면 됩니다. 가격과 시간, 코스, 탑승장소, 주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단양8경

충청북도 단양에는 8개의 명승지가 있습니다. 단양8경은 단양읍에서 10km안팎의 거리에 있으며 남한강을 따라 주변에 있는 기암괴석이 주를 이룹니다. 단양8경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도담삼봉입니다. 그 밖에 석문, 구담봉, 사인암, 옥순봉,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이 있습니다.

도담삼봉

도담삼봉은 명승 제 44호로 단양8경 중 가장 으뜸으로 손꼽힙니다. 이 봉우리는 물에 잠겨있으며 봉우리 셋이 물 밖으로 나와 있습니다. 조선시대 정도전을 비롯해 김홍도, 김정희 등 도담삼봉을 칭송하고 그리고 시를 지은 이들이 많습니다. 정도전은 본인의 호를 삼봉이라할 정도로 이 곳을 사랑했습니다.

도담삼봉 유람선

1.유람선 가격 및 운항코스

대인 13,000원 소인 10,000원

2.유람선 운항코스

도담삼봉 출발-석문(제2경)-은주암-자라바위-삼봉대교-금굴-고수대교-출발지도착

3.유람선 예약하기

네이버예약에서 예약하면 됩니다. 네이버예약은 이용 2시간 전까지 가능합니다. 네이버예약으로 마감되었어도 현장접수가 가능합니다.

유람선 네이버로 예약하러가기==>>

도담삼봉유람선가격

4.유람선 운항시간표

한 시간에 한 번 출항합니다. 평일은 운행 횟수가 적고 토일공휴일은 횟수가 늘어납니다. 매일 출항시간이 조금씩 다르므로 시간표를 반드시 참고해야 합니다.

도담삼봉유람선

5.유람선 탈 때 알아야 할 점

1)승선장소

충북 단양군 매포읍 삼봉로 644-13

2)전화번호 043-422-1740

3)갑판위에 야외에서 도담삼봉 및 석문 등이 잘 보입니다.

4. 신분증은 없어도 됩니다.

5)구명조끼는 입지 않습니다.

6)소요시간 50분

7)주차는 도담삼봉 유원지로 들어오셔서 우회전하시면 유람선 인근 공터에 주차할 수 있습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엄청난 뷰, 만천하 스카이워크는 꼭 가봐야!===>>

SK텔레콤 배당금 히스토리 (2025년 추정,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최근 배당주 중에서 수익률이 좋은 SK텔레콤의 과거 배당 내역을 정리하였습니다. SKT의 최근 배당수익률은 시가 기준으로 약 6.3%~6.4%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SK텔레콤 배당금 연도별 아래와 같습니다. ’21년은 SK스퀘어와의 분할이 있었던 시기로 주가와 배당금액이 트렌드와 맞지 않습니다. 당시 주가는 약 25~30만원 수준으로 SK스퀘어와의 분할 후 주가가 1/5로 줄어들어 약 6만원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한다면 배당수익률은 일시적으로 약 4% 수준이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분할 후 SKT는 매분기 고정적으로 주당 830원을 배당하고 있습니다. 다만 ’23년말에 특별배당 형태로 1,050원을 배당하였던 전례가 있습니다.

’24년 4분기 결산 배당금액도 830원이 아닌, 1천원 이상의 배당을 줄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통상 SKT는 배당금액을 줄이지 않았던 것을 본다면 최소 작년말 수준의 배당을 지급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울러 ’25년 실적 상승에 따라 배당금액을 조금 더 올려서 지급하면 좋겠습니다.

Screenshot

—–updated : 2024년 2월 6일 ——

최근 배당주 중에서 수익률이 좋은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정리하였습니다. SK텔레콤은 기존에 중간배당/연배당하여 일년에 총 2회 배당금을 지급하였으나, 2021년 3월 정기주총에서 분기배당 제도로 변경하였습니다. SKT는 2021년 2분기부터 분기배당을 시행하였습니다.

이후로는 매년 4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SKT의 최근 배당수익률은 시가 기준 약 6.3%~6.4% 6.3% ~ 7.0%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SK텔레콤 2023년 4분기 배당금 확정

SK텔레콤 이사회(‘24.2.2)에서 결산 배당금액을 1,050원으로 확정 의결하였습니다. 기존 분기당 830원씩 배당을 해 왔었는데요, 이번에는 특별 배당인지 아닌지 확인이 안되지만 배당금액을 830원에서 1,050원으로 상향하여 지급하기로 하였네요

이런 추세로 배당금액을 상향해서 setting한다면 좋겠지만, 실적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할 부분 입니다. 조만간 SKT 실적발표 등 관련내용에 대해서 언급이 있다면 지속 추적하여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이로써 최근 주가 기준으로 볼 때, SKT의 배당수익률은 약 7%를 상회하는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향후 금리하락을 고려한다면 배당수익률 관점에서 SKT의 주가는 상승 여력을 가지고 있지 않나 추측해 봅니다.

SK텔레콤 2023년 배당 히스토리

(업데이트 후)

(업데이트 전)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32023-12-312024-04-26 예상830원미확정
3Q232023-09-302023-11-14830원미확정
2Q232023-06-302023-08-11830원지급완료
1Q232023-03-312023-05-10830원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3,320원
최근 주가(‘23.9.27) 52,0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38%

SK텔레콤 히스토리

SK텔레콤 배당

SK텔레콤 2022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22022-12-312023-04-27830원지급완료
3Q222022-09-302022-11-16830원지급완료
2Q222022-06-302022-08-17830원지급완료
1Q222022-03-312022-05-17830원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3,320원
연말 주가(‘22.12.27) 49,3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73%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SK텔레콤 2021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12021-12-312022-04-221,660원지급완료
3Q212021-09-302021-11-18500원지급완료
2Q212021-06-302021-08-10500원지급완료
1Q21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2,660원
연말 주가(‘21.12.28) 61,3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4.34%

SKT 배당 히스토리 정리

SKT 배당 히스토리 정리

SK텔레콤 2020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02020-12-312021-04-219,000원지급완료
3Q20
2Q202020-06-302020-08-191,000원지급완료
1Q20
연간 배당금 합계10,000원
연말 주가(‘20.12.28) 247,0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4.05%

’21년 11월 29일, SK텔레콤은 주식을 5:1로 분할하였습니다. (액면가 500원을 100원으로 변경함) ’20년 당시 주가 247,000원의 주가는 분할 후로 환산하면 약 49,400원 수준입니다.

SKT 배당 히스토리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삼성전자 ===>>> 배당 확인하기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배당에 관한 insight를 위한]

배당주 투자시 고려해야 할 점 – 배당주 투자 후 어떻게 재투자를 해야 하는지?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 수익률의 비교 분석

2023년 7월 SK텔레콤의 자기주식 매수 공시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 수정일

현대카드 M포인트 사용처, 포인트 사용방법, M포인트 현금화

현대카드 포인트 모으면 어떻게 쓰시나요? 원래는 이마트 상품권으로 바꿔서 마트에 갔었는데 그 서비스가 없어졌습니다. 그 동안 모은 포인트를 어떻게 쓰면 잘 쓰는 건지, 상품권 말고 더 나은 것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현대카드 M포인트 모으면 어떻게 쓰시나요? 원래는 이마트 상품권으로 바꿔서 마트에 갔었는데 그 서비스가 없어졌습니다. 그 동안 모은 포인트를 어떻게 쓰면 잘 쓰는 건지, 상품권 말고 더 나은 것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GIFT카드로 교환

현대카드M포인트를 이마트 상품권으로 바꾸면 이마트에서만 써야되는데 이렇게 카드로 바꾸니 아무데나 쓸 수 있어서 너무 좋은것 같습니다. 교환비율은 이마트 상품권 때와 같습니다. 15만 포인트를 10만원권으로 바꿔줍니다. 앱에서 GIFT카드 교환신청을 누르고 정보를 기재하면 집으로 카드가 옵니다. 이렇게 하면 100%는 아니지만 포인트를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전 30만포인트가 있어서 20만원짜리 기프트카드를 신청했더니 집으로 카드가 배송되어왔습니다.

현대카드기프트카드

연회비 결제

얼마간의 포인트는 연회비결제에 썼습니다. 연회비 결제는 포인트로 100%결제가 가능합니다.

현대카드 M포인트 자동 사용

집 앞에 이마트24와 GS25를 자주 가는데 포인트를 사용해 달라는 말이 너무 번거로와 포인트를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앱의 자동사용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포인트를 사용할 매장을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해 놓으니 바쁜 편의점에서 카드만 긁으면 자동으로 포인트가 사용이 되어서 편합니다.

포인트 사용 많이 할 수 있는 곳

여기는 꼭 포인트 사용해달라고 말해야 합니다. 그래야 100% 포인트를 알차게 쓸 수 가 있습니다. 이 제휴사들은 기간이 정해져 있어서 2023년 9월 기준, 제휴가 맺어져 있는 가맹점을 알려드립니다.

1. 뚜레쥬르, 파리바게뜨, 던킨, 베스킨라빈스, 미스터피자, 피자헛, 도미노피자 50%

2. 아웃백,VIPS, 메드포갈릭 최대 50%

3.CGV 6천포인트 사용

4.지마켓, 옥션, 11번가, 티몬 5%

5. 올리브영 10%

6. GS칼텍스 리터당 80포인트사용

7. 투썸플레이스, 파스쿠찌, 달콤 50%

100%포인트 쓸 수 있는 쇼핑몰

현대카드 M-Mall 바로가기==>>

쇼핑이지 바로가기===>>

중1 평균키, 중1 평균 몸무게, 중1 키크는 방법

중학교에 입학하면 남자 아이들의 키가 쑥쑥 크기 시작하고 여자아이들은 생리를 시작하면서 키크기 성장이 더뎌지기 시작합니다. 자신의 키와 몸무게가 또래들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 키크는 방법 및 적절한 몸무게는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중학교에 입학하면 남자 아이들의 키가 쑥쑥 크기 시작하고 여자아이들은 생리를 시작하면서 키크기 성장이 더뎌지기 시작합니다. 자신의 키와 몸무게가 또래들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 키크는 방법 및 적절한 몸무게는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중1 평균키

질병관리청에서는 1967년부터 10년에 한 번씩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신장, 체중 등을 측정한 성장도표를 제정 발표하고 있습니다. 아래글의 수치는 2017년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이 표를 바탕으로 합니다.

1. 중1 평균 남자키

중1은 만나이로 하면 13세입니다. 남자 만13세의 첫개월의 평균키는 158.6cm입니다. 3%는 144.2cm이고 97%는 171.9cm입니다. 만 13세의 마지막 달이되면 평균키가 164.5cm가 됩니다.

2.중1 평균 여자키

여자 만 13세의 첫달의 평균키는 155.9cm입니다. 3%가 144.7cm이고 97%가 166cm입니다. 만 13세의 마지막달이되면 평균키는 158.2cm가 됩니다.

중1 평균 몸무게

1.중1 평균 남자 몸무게

중학교 갓 입학했을 만 13세 첫달의 평균몸무게는 50.9kg입니다. 3%는 36.9kg이고 97%는 75kg입니다. 2학년이 되기 직전인 13세 마지막달에는 평균몸무게가 55.6kg이 됩니다.

2.중1 평균 여자 몸무게

평균몸무게는 47.7kg입니다. 3%는 36.6kg이고 97%는 66.9kg입니다. 13세 마지막 달의 평균몸무게는 50.3kg이 됩니다.

중1 평균키와 몸무게에 비해 내 수준은?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측정계산기에 본인의 성별, 생년월일, 키, 몸무게, 측정일(머리둘레는 안 넣어도 됩니다)을 넣으면 본인의 키와 몸무게가 어느 정도인지 그래프로 알 수 있습니다. 중1의 평균키와 몸무게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래프 상에서 내 키와 몸무게가 평균 이상인지 이하인지, 어디 정도에 있는지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으니 한번 해 보시기 바랍니다.

내 키와 몸무게는 어느 정도이지 알아보기===>>

중1 키 크는 요령

1.너무 늦게 자지 않습니다.

성장호르몬이 많이 나오는 시간이 오후 10시부터 새벽 2시 사이라고 합니다. 10시부터 잘 수 없는 학생이 많지만 그렇다고 새벽 1,2시가 넘어서 자지 않도록 합니다.

2.성장점을 자극하는 운동을 합니다.

성장점을 자극하는 운동 중에 가장 효과가 좋은 운동은 줄넘기입니다. 상하로 점프하면서 성장점을 자극하는 좋은 운동입니다. 비슷한 운동으로는 농구가 있습니다.

3. 커피나 고카페인 음료섭취를 줄입니다.

학원 수업시간이나 시험기간에 졸지 않으려고 중학생들이 핫식스 등의 고카페인 음료를 즐겨마시는데요. 카페인이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므로 의식적으로 줄이도록 노력합니다.

4.무리한 다이어트를 하지 않습니다.

여자아이들의 경우 아이돌처럼 마른 몸매를 가지고자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키가 클 때 제대로 먹지 않으면 키클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살은 반드시 운동으로 빼야 키도 크고 요요도 오지 않습니다.

키 크는데 도움을 주는 영양제 보러가기===>>>

같이 읽으면 유익한 글

중간고사 학원 안가도 100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 가볼만한곳 단풍놀이

단풍의 계절이 오고있는데요. 아름다운 단풍을 수면 100미터 위에서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충북 단양에 있는 만천하스카이워크입니다. 아름다운 남한강과 단양팔경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만천하스카이워크를 잘 갔다 오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단풍의 계절이 오고있는데요. 아름다운 단풍을 수면 100미터 위에서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충북 단양에 있는 만천하스카이워크입니다. 아름다운 남한강과 단양팔경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만천하스카이워크를 잘 갔다 오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만천하스카이워크 요금

요금은 3천원입니다. 단양의 아름다운 모습을 전망대에 올라서 보길 원하는 분들은 만천하스카이워크만 올라가시면 됩니다. 주차장에 내려서 매표소에서 표를 구입하면 셔틀타는 곳이 있습니다. 셔틀타고 5분정도 가면 만천하 스카이워크 올라가는 곳에 내려줍니다. 내려서 전망대까지 걸어서 올라가야 합니다. 이것도 올라가는데 한 20분정도 걸립니다. 올라가면 산 꼭대기에 강화유리로 된 전망대가 있습니다. 엄청난 높이에 아래가 다 보여서 못 올라가시는 분도 있습니다.

만천하스카이워크 위치 및 가는 법

네이게이션 위치

충북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 94번지

만천하스카이워크 위치 보러가기==>>

자가용으로 오시는 것이 편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면 KTX단양역이 인근에 있습니다. 거기까지 오셔서 택시를 타는 것이 낫습니다. 전 대중교통으로 가본 적은 없는데 네이버지도 상에는 단양역에서 만천하까지 오는 버스편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만천하스카이워크 주차

만천하스카이워크 주차장이 여럿있습니다. 그 중에 매표소와 가장 가까운 곳은1주차장이고 2, 3주차장에 대면 도보로 매표소로 와야합니다. 3주차장은 다소 걸어야 합니다. 만일 만차가 되면 5주차장에 대고 무료셔틀을 타고 매표소로 오면됩니다. 관광객중에 단양강 잔도길을 걸어서 매표소로 오시고자 하는 분은 제 5주차장에 차를 대고 잔도길을 따라 내려오면 매표소로 오실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잔도길도 깁니다. 시간적 여유를 갖고 걸어야합니다.

만천하스카이워크 엑티비티

1.짚와이어

요금은 모든 연령 3만원입니다. 길어보이지만 속도가 빨라 금방 내려갑니다. 두 사람씩 타고 내려갑니다. 앉아서 내려가는 짚라인으로 그렇게 무서워 보이진 않았습니다. 75kg이상이면 짚와이어를 탑승할 수 없습니다

2.알파인코스터

요금은 모든 연령 15,000원 입니다. 혼자타는 거고 이게 은근히 속도가 빠릅니다. 뒷 사람이 부딪힌다고 브레이크를 계속 잡고 있다거나 천천히 내려가지 말라고 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덜컹거리는 편입니다. 만천하가 높이 있다보니 생각보다 한참 내려오고 경사도 급합니다. 키가 120이상이면 혼자서 탈 수 있으나 겁이 많은 아이는 이 사실을 알고 타야 합니다.

3.만천하슬라이드

요금은 모든 연령 13,000원입니다. 만 12세 이상 65세 미만이면 탑승가능합니다. 매트위에 올라타서 긴 미끄럼틀을 내려가는 겁니다. 워터파크에서 긴 슬라이드 타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 명씩 타는 거고 생각보다 경사가 크고 무섭습니다.

4.모노레일

셔틀대신 모노레일을 타고 올라갈 수 있습니다. 요금은 2,500원입니다. 요금은 비싸지 않지만 많이 기다려야 한다면 그냥 셔틀을 타고 올라가도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물론 셔틀을 타면 가는 동안 전망을 볼 수 있지는 않습니다.

만천하스카이워크 야간개장

만천하스카이워크가 야간개장을 하기 시작했는데요. 매주 금토일 18:00~22:00입니다.

만천하 자체 조명도 예쁘고 아래 단양읍내의 아름다운 불빛도 아름답습니다. 더운날에는 올라가느라 땀도 나고 올라가도 더운 경우가 있는데요. 밤에가면 단풍은 못 보지만 시원한 바람과 야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야간개장에 가면 다른 액티비티 시설은 이용할 수 가 없고 셔틀도 운영하지 않습니다. 단 자차로 올라갈 수 있도록 안내한다고 합니다.

만천하스카이워크 이용팁

주차장에 차를 대고 전망대까지 가는 시간이 아무리 빨라도 30분 이상 걸립니다. 표끊고 셔틀기다리고 셔틀내려서 올라가고 하는데 천천히 가면 1시간 걸립니다.

5주차장에 차를 대고 잔도길로 오는 길이 절경입니다. 날이 좋고 시간이 여유롭다면 잔도길을 걸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3. 10.6부터는 요금이 인상됩니다. 모든 요금이 30%정도 인상됩니다.

배당주 투자 장점 및 단점을 따져봅시다

배당주는 어떤 면에서 채권하고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시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일목 요연하게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통상 배당주에 관심을 갖는 분들은 성장주 투자니 가치주 투자니 하는 것들을 겪고 나서 배당주로 옮겨온 경우가 많습니다. 고액 자산가들도 배당주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배당주는 어느 면에서 채권하고 비슷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배당주 투자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배당주 투자 장점

첫째, 고정적이면서 안정적인 현금흐름이 생깁니다.

위의 내용은 꼭 맞는 말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배당주는 기업이 경영활동을 통하여 얻게 되는 당기순이익을 주주에게 돌려주는 개념으로 지급되는 것이지, 채권처럼 기업이 돈을 벌든 못벌든 고정적인 이자를 지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주로 인식이 되어 있는 종목들은 통상적으로 안정적인 당기순이익을 얻고, 그 순이익을 주주에게 돌려주기 때문에 급격하게 배당을 줄이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아서 수익성이 급감하게 되면 흔히 말하는 배당컷(dividend cut)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둘째, 매 분기 또는 매 해 발생하는 배당금액을 재투자 할 수 있으니 복리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안정적인 수입이 지속적으로 창출된다면 해당 금액을 다시 배당주 매입에 사용함으로써 주식의 수량을 늘릴 수 있고, 이는 배당금액 상승으로 연결되므로 재투자를 통한 복리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발판이 됩니다.

셋째, 장기 투자시 배당금으로 원금의 일부를 회수하는 효과가 있어서 투자에서 심리적인 안정을 누릴 수 있습니다.

성장주에 투자하는 경우, 만약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원금에 대한 순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서 투자자의 마음은 고통 속에 빠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배당주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주가 하락시에 추가 투자를 통해서 시가배당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받았던 배당수익이 주가 하락분을 만회해주는 범퍼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가하락시기에도 심리적인 안정을 누릴 수 있어 자신감 있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넷째, 일정 부분 인플레이션 헷지 기능을 제공합니다(inflation hedge)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이는 기업의 판매가격의 상승으로 연결되므로 일정부분 배당금액 상승에도 연결되게 되므로 물가 상승이라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화폐 가치의 하락시기에 배당금액 상승으로 방어를 해주게 됩니다.

배당주 투자의 단점

첫째, 세금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10억원 이상의 대주주가 아니라면 주식의 양도에 대한 세금이 없는 상태입니다. 미국주식은 연간 250만원의 양도차익까지는 비과세입니다. 그러나 이자와 같이 배당을 수령하게 되면 비과세 정책을 적용받는 ISA계좌 등 특별 계좌를 통한 것이 아니라면 배당소득세가 15.4% 부과되게 됩니다.

둘째, 아무래도 골고른 분산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은 기관투자자와는 달리 공매도를 자유롭게 하지도 못하지만, 보유하고 있는 자금을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도 쉽지 않은 환경입니다. 결국 분산투자라고 해봐야 주식의 섹터를 나눠서 투자하는 것인데, 이마저도 배당주 위주로 구성을 하게 되면 포트폴리오를 제대로 만들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배당주에 일정 비율을 투자하고 나머지는 성장주/가치주에 투자를 하면 되겠습니다만, 아무래도 배당주에 집중하게 되면 분산투자가 쉽지 않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셋째, 배당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기업의 경영환경, 거시경제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환경적인 영향을 덜 받는 회사를 잘 구분하여 투자해야 배당컷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넷째, 금리 상승기에 배당주도 주가 하락을 경험하게 됩니다. 성장주는 금리 상승기에 상대적으로 더욱 하락하기 때문에 배당주가 낫긴 합니다만, 체계적인 위험(systematic risk)에 대해서 배당주도 완전한 방어가 되지 않습니다. 이런 점이 배당주 투자시에 주의해야 할 점으로 보입니다. 반면 상대적 측면에서는 성장주 대비해서는 장점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정리하며

배당주에 투자할 경우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적은 씨드머니(Seed money)로는 배당주 투자의 매력을 느끼기 힘든 것이 사실이고, 최근에 급등락하는 2차전지 등 성장주를 보면 배당주 투자는 매력이 떨어진다고느껴질 수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입을 제공하는 채권과 같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배당주 투자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생각되니 배당주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공부하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KT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배당주 투자시 고려해야 할 점 – 배당주 투자 후 어떻게 재투자를 해야 하는지?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 수익률의 비교 분석

2023년 7월 SK텔레콤의 자기주식 매수 공시

최종수정일

4분기 배당주, 배당락, 배당금 지급일, 분기배당주

4분기 배당주는 어떤 종목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4분기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언제까지 주식을 매입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4분기 배당을 노리고 주식을 매입한 경우 언제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분기 배당을 주는 기업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4분기 배당주 어떤 종목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4분기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언제까지 주식을 매입해야 하는지 배당락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4분기 배당을 노리고 주식을 매입한 경우 언제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분기 배당을 주는 기업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4분기 배당주, 연배당주와 동일합니다.

4분기 배당주는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면 4분기는 12/31일이 기준일이 되기 때문에 모든 기업들이 배당을 주는 기준일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즉, 4분기 배당락일 전에 주식을 매입해서 기준일까지만 보유하고 있는다면 4분기 배당, 또는 연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분기 배당주는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로 4번에 나눠서 1년치 배당을 지급하는 반면 연배당 기업들은 일년에 한번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4분기 배당락일

4분기 배당락일 (2023년 4분기)

’23년 4분기 배당락일은 12/29(금) 휴장일을 감안하면 12/28(목)까지 매수처리가 되어야 하며, 매수처리는 HTS/MTS에서 주문 후 2일이 걸린다는 점을 계산하면 HTS/MTS에서 주문체결을 12/26(화)까지 완료해야 합니다.

따라서 아마도 4분기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마지막 매수일은 12/26(화)이 될 것이며, 12/27(수)는 배당락일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배당락일은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권리가 떨어졌다는 의미로 ‘떨어질 낙’을 쓰기도 하구요, 한편으로는 배당받을 수 있는 권리가 없으므로 그날에는 배당주의 주가가 떨어진다는 의미로도 배당락(配當落, exdividend)을 사용합니다.

배당을 주는 주식들은 배당락일까지 서서히 주가가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른 외부적인 하락 요인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말이죠) 그러다가 배당락일이 되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없어지게 되므로 배당금액 수준만큼 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4분기 배당금 지급시기, 배당금은 언제 들어오나?

이제 배당락일 전까지 배당주를 매수했다면 해당 배당금은 언제 입금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4분기 배당금은 1분기, 2분기, 3분기와는 달리 조금 늦게 들어옵니다. 우리나라는 기업들이 1년간 사업을 하고 나서 결산을 하게 되고, 그 내용을 재무제표로 작성하여 주주들에게 보고하게 됩니다. 그런 절차가 바로 정기주주총회를 통해서 완료가 됩니다.

정기주주총회는 일반적/대체적으로 3월에 있습니다. 따라서 4분기 배당금(결산 배당금, 연배당금)은 매년 4월 중에 지급됩니다. 세부적인 배당금 지급일자는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들의 업무처리 일정에 따라 다 다르기 때문에 배당금 지급시기가 도래하면 따로 확인해봐야 합니다. 보통은 3월말까지 정기주주총회를 끝내게 되고, 빠른 기업들은 4월 15일경, 좀 늦은 기업들은 4월 20일 이후에 지급합니다.

분기 배당주

이제 분기 배당주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대표적 기업인 삼성전자는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표적인 통신주인 SK텔레콤도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금융주, 리츠 등 관련 주들도 분기배당을 하기도 하고 반기배당을 하기도 합니다.

최근 수익률이 좋은 분기 배당주는 다음과 같은 종목들이 있으니 기업정보, 주가, 실적 등 잘 찾아보시고 충분히 알아보신 후에 투자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은 최근일자 주가를 기준으로 산출한 시가배당률입니다. 시가배당율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면 하락하게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가배당율과 주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채권의 가격과 금리가 반대 방향인 것과 동일한 원리입니다)

삼성전자(약 2.1%), 삼성전자우선주(약 2.6%), SK하이닉스(약 1%), SK텔레콤(약 6.5%), CJ제일제당(1.34%), CJ제일제당우선주(4.1%), 삼양옵틱스(약 7%), 쌍용C&E(약 6.3%), 신한지주(약 6.1%), 하나금융지주(약 5.4%), KB금융(약 5.1%), SK리츠(약 6.1%), 한온시스템(약 3.8%), 씨젠(약 3.7%), POSCO홀딩스(약 1.6%)

해외기업으로는 애플(약 0.55%), 마이크로소프트(약 0.86%), 스타벅스(약 2.26%), 제이피모건체이스(약 2.88%), 펩시코(약 2.9%), 블랙록(약 3.0%), 코카콜라(약 3.2%), 세브론(약 3.6%), SCHD(약 3.67%), 모간스탠리(약 6.1%), AT&T(약 7.3%), 알트리아그룹(MO, 8.9%) 등이 있습니다.

Optimized by Optim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