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제이알글로벌리츠는 납입자본금이 9,600억원이 넘는 대규모 리츠입니다. 벨기에 및 미국 뉴욕의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으며 만 4년이 된 리츠입니다. 어떤 리츠인지 알아보고 금번 배당금액과 지급일정도 확인합시다

제이알글로벌리츠 납입자본금이 9,600억원이 넘는 대규모 리츠입니다. 벨기에 및 미국 뉴욕의 부동산에 투자/운용하여 수익을 배분하는 리츠입니다. 2019년에 설립하여 만 4년이 되어가는 리츠로 현재까지는 배당금을 잘 지급하고 있습니다. 어떤 리츠인지 알아보고 ’23년 배당금, 지급일정도 알아봅시다.

제이알글로벌리츠 배당금

제이알글로벌리츠 기초자산

벨기에 브뤼셀 소배 Class A급 오피스인 ‘Finance Tower Complex'(파이낸스타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뉴욕 맨하튼 소재 Class A급 오피스인 ‘498 7번가 애비뉴’ 건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벨기에 파이낸스타워

벨기에 소재 파이낸스 타워의 입지는 아주 좋습니다. 주변에 금융감독원, 경찰청, 브뤼셀의회, 미국 대사관, 브뤼셀 시청 등 주요 건물들이 있는 곳입니다. 또한 지하철역과 전용 통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임차인은 벨기에 연방정부 산하 벨기에 건물관리청이 100%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벨기에 재무부, 복지부 등 정부 주요 부처들이 입주해 있습니다. 임차기간은 2002년부터 2034년까지 32년이며 현재는 약 11년 임차기간이 남아 있습니다. 만기 12개월 전 별다른 이야기가 없으면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연간 임대수입은 원화 기준 약 970억원 수준입니다.

미국 뉴욕 오피스

이제 두번째 자산을 보면,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남쪽 방향에 498 7번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인근에는 Museum of modern Arts, Central Park(센트럴파크) 등이 있습니다. 또한 주변 건물에 아마존, 구글, 메타, JP모건, 블랙스톤 등 주요 기업들이 입주해 있습니다. 498 7번가 오피스 건물은 제이알글로벌리츠가 50% 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건물 임차인들은 총 14개사이며, 현재 임대율은 약 95.3%입니다. 잔여임대기간은 19년이고, 연간 임대수입은 원화 기준 약 700억원 수준입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_JR글로벌리츠_자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배당금

제이알글로벌리츠 재무상태

2023년 9월 15일에 공시된 자체 프리젠테이션 자료에 의하면, 2023년 6월말 기준 재무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재무상태

현금성자산 109억원, 기타채권 405억원 및 투자자산(자리츠) 규모 9,995억원 등 총 자산은 1조 843억원입니다. 본 자산은 벨기에 파이낸스타워 및 미국 뉴욕 오피스 건물의 투자금액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자금은 부채로는 약 951억원, 자본으로는 9,892억원을 조달하였습니다.

손익상태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간 영업이익은 377억원, 당기순이익은 375억원으로 주당이익은 190원을 달성하였습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 상반기 배당금

제이알글로벌리츠의 상반기(’23년 1월 ~ 6월) 운영에 따른 배당금은 주당 19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리츠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190원을 배당하고 있어서 아직 변동은 없는 상태입니다. 연간으로 계산하면 190원 * 2회, 주당 380원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금번 결정된 제이알글로벌리츠의 배당금은 9월 정기주주총회에서 결정하였고, 배당금의 지급일은 10월 13일입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의 최근 주가는 4,020원(10/6 종가기준)으로 시가배당수익률은 9.45%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_JR글로벌리츠_재무상태_손익계산_배당금액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배당금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 읽으러 가기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내역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 읽으러 가기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최종 수정일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내역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리츠는 아니지만 사회적 기반시설에 투자하고 분배금을 지급하는 맥쿼리인프라의 배당 히스토리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맥쿼리인프라(088980)는 매년 2회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6.31%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리츠는 아니지만 사회적 기반시설에 투자하고 분배금을 지급하는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해 보겠습니다. 맥쿼리인프라(088980)는 매년 2회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6.31%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맥쿼리인프라의 경우 매년 분배금을 상향하고 있고, 실적도 꾸준히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많은 배당주 투자자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총 지급하고 있는 분배금(배당금) 총액도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총 2,596억원 지급, 2021년에는 2,916억원 지급, 2022년에는 3,117억원을 지급하였고, 2023년 상반기에는 1,559억원을 지급한바 있습니다. 2023년 하반기에도 약 1,560억원을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2023년에는 총 3,119억원을 지급하게 됩니다.

맥쿼리인프라 배당

맥쿼리인프라 2023년 배당 내역

최근 업데이트 내역 보러가기 ===>>> ’23년 하반기 배당금 확정

맥쿼리인프라 배당

맥쿼리인프라 2022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22022-12-312023-02-28390원지급완료
3Q22
2Q222022-06-302022-08-29380원지급완료
1Q22
연간 배당금 합계770

연말 주가(‘22.12.27) 11,5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70%

맥쿼리인프라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맥쿼리인프라 2021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12021-12-312022-02-28380원지급완료
3Q21
2Q212021-06-302021-08-27370원지급완료
1Q21
연간 배당금 합계750원

연말 주가(‘21.12.28) 14,15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5.30%

맥쿼리인프라 배당

배당 히스토리

맥쿼리인프라 2020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02020-12-312021-02-26360원지급완료
3Q20
2Q202020-06-302020-08-31360원
1Q20
연간 배당금 합계720원

연말 주가(‘21.12.28) 11,25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40%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최종수정일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내역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SK텔레콤, KT 함께 통신주로 분류되어 있는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살펴보고자 합니다. 최근 주가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6.27%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SK텔레콤, KT 함께 통신주로 분류되어 있는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살펴보고자 합니다. LG유플러스(032640)는 연배당을 실시하다가 2021년부터 중간배당을 도입하여 연2회 배당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6.27%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의 최근 4년간 배당 내역을 살펴보면 주당 450원에서 최근 650원으로 상향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0년에서 2021년은 3.75~3.90% 수준의 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2022년부터 금리가 오르기 시작하자 대부분의 주식들의 주가가 하락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LG유플러스의 배당금 650원으로 상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배당수익률은 약 5.4~6.3%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 배당 내역

LG유플러스 2023년 배당 내역

LG유플러스 ’23. 12. 27일 (배당락 전일) 주가 10,120원 기준, 배당수익률은 약 6.42% 입니다. 최근 주가 9,680원(’24. 4. 18자) 기준 배당수익률은 약 6.71%입니다.

하단 표는 과거 블로그 작성시 시가 배당수익률입니다. 약 6.27% 였습니다.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32023-12-312024-04-15 예상400원지급완료
3Q23
2Q232023-06-302023-08-25250원지급완료
1Q23
연간 배당금 합계650원
최근 주가(‘23.9.27) 10,36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27%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배당 내역

LG유플러스 2022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22022-12-312023-04-14400원지급완료
3Q22
2Q222022-06-302022-08-26250원지급완료
1Q22
연간 배당금 합계650원
연말 주가(‘22.12.27) 11,9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5.46%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LG유플러스 2021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12021-12-312022-04-15350원지급완료
3Q21
2Q212021-06-302021-09-03200원지급완료
1Q21
연간 배당금 합계550원
연말 주가(‘21.12.28) 14,15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3.89%

배당 히스토리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2020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02020-12-312021-04-16450원지급완료
3Q20
2Q20
1Q20
연간 배당금 합계450원
연말 주가(‘21.12.28) 12,0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3.75%

LG유플러스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아이패드 프로 라인업 비교하기 : https://hisnomad.com/아이패드-프로-ipad-pro-라인업-23-9월-기준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최종수정일

KT 배당 히스토리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통신주는 대표적인 배당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KT(케이티, 030200)의 과거 배당 이력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최근 주가 기준의 시가배당수익률은 약 5.9%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통신주는 대표적인 배당주입니다. SK텔레콤 배당 이력과 비교하기 위하여 KT 배당 히스토리 살펴보려고 합니다. KT(케이티, 030200)는 다른 통신주와는 달리 여전히 연간 배당만 지급하고 있습니다. 즉 일 년에 한 번만 배당을 실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케이티 최근 주가 기준으로 계산한 시가배당수익률은 약 5.9%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KT 배당금 중기 주주환원 정책 분석 (’23~’25년), 발행일 2023-10-27

KT 배당 이력

KT 2023년 배당 히스토리 내역

케이티

’24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주당 1,960원의 배당을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24년에는 분기단위로 배당을 시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배당

KT 2022년 배당 히스토리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22022-12-312023-4-271,960원지급완료
3Q22
2Q22
1Q22
연간 배당금 합계1,960원
연말 주가(‘22.12.27) 36,300원 기준 : 배당수익률 5.40%

KT 배당 이력

케이티

KT 2021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12021-12-312022-4-271,910원지급완료
3Q21
2Q21
1Q21
연간 배당금 합계1,910원
연말 주가(‘21.12.28) 32,850원 기준 : 배당수익률 5.81%

KT 배당 이력

배당

KT 2020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02020-12-312021-4-271,350원지급완료
3Q20
2Q20
1Q20
연간 배당금 합계1,350원
연말 주가(‘21.12.28) 32,850원 기준 : 배당수익률 5.81%

KT 배당 이력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최종 수정일

SK텔레콤 배당금 히스토리 (2025년 추정,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최근 배당주 중에서 수익률이 좋은 SK텔레콤의 과거 배당 내역을 정리하였습니다. SKT의 최근 배당수익률은 시가 기준으로 약 6.3%~6.4%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SK텔레콤 배당금 연도별 아래와 같습니다. ’21년은 SK스퀘어와의 분할이 있었던 시기로 주가와 배당금액이 트렌드와 맞지 않습니다. 당시 주가는 약 25~30만원 수준으로 SK스퀘어와의 분할 후 주가가 1/5로 줄어들어 약 6만원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한다면 배당수익률은 일시적으로 약 4% 수준이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분할 후 SKT는 매분기 고정적으로 주당 830원을 배당하고 있습니다. 다만 ’23년말에 특별배당 형태로 1,050원을 배당하였던 전례가 있습니다.

’24년 4분기 결산 배당금액도 830원이 아닌, 1천원 이상의 배당을 줄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통상 SKT는 배당금액을 줄이지 않았던 것을 본다면 최소 작년말 수준의 배당을 지급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울러 ’25년 실적 상승에 따라 배당금액을 조금 더 올려서 지급하면 좋겠습니다.

Screenshot

—–updated : 2024년 2월 6일 ——

최근 배당주 중에서 수익률이 좋은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정리하였습니다. SK텔레콤은 기존에 중간배당/연배당하여 일년에 총 2회 배당금을 지급하였으나, 2021년 3월 정기주총에서 분기배당 제도로 변경하였습니다. SKT는 2021년 2분기부터 분기배당을 시행하였습니다.

이후로는 매년 4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SKT의 최근 배당수익률은 시가 기준 약 6.3%~6.4% 6.3% ~ 7.0%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SK텔레콤 2023년 4분기 배당금 확정

SK텔레콤 이사회(‘24.2.2)에서 결산 배당금액을 1,050원으로 확정 의결하였습니다. 기존 분기당 830원씩 배당을 해 왔었는데요, 이번에는 특별 배당인지 아닌지 확인이 안되지만 배당금액을 830원에서 1,050원으로 상향하여 지급하기로 하였네요

이런 추세로 배당금액을 상향해서 setting한다면 좋겠지만, 실적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할 부분 입니다. 조만간 SKT 실적발표 등 관련내용에 대해서 언급이 있다면 지속 추적하여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이로써 최근 주가 기준으로 볼 때, SKT의 배당수익률은 약 7%를 상회하는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향후 금리하락을 고려한다면 배당수익률 관점에서 SKT의 주가는 상승 여력을 가지고 있지 않나 추측해 봅니다.

SK텔레콤 2023년 배당 히스토리

(업데이트 후)

(업데이트 전)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32023-12-312024-04-26 예상830원미확정
3Q232023-09-302023-11-14830원미확정
2Q232023-06-302023-08-11830원지급완료
1Q232023-03-312023-05-10830원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3,320원
최근 주가(‘23.9.27) 52,0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38%

SK텔레콤 히스토리

SK텔레콤 배당

SK텔레콤 2022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22022-12-312023-04-27830원지급완료
3Q222022-09-302022-11-16830원지급완료
2Q222022-06-302022-08-17830원지급완료
1Q222022-03-312022-05-17830원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3,320원
연말 주가(‘22.12.27) 49,3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73%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SK텔레콤 2021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12021-12-312022-04-221,660원지급완료
3Q212021-09-302021-11-18500원지급완료
2Q212021-06-302021-08-10500원지급완료
1Q21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2,660원
연말 주가(‘21.12.28) 61,3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4.34%

SKT 배당 히스토리 정리

SKT 배당 히스토리 정리

SK텔레콤 2020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02020-12-312021-04-219,000원지급완료
3Q20
2Q202020-06-302020-08-191,000원지급완료
1Q20
연간 배당금 합계10,000원
연말 주가(‘20.12.28) 247,0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4.05%

’21년 11월 29일, SK텔레콤은 주식을 5:1로 분할하였습니다. (액면가 500원을 100원으로 변경함) ’20년 당시 주가 247,000원의 주가는 분할 후로 환산하면 약 49,400원 수준입니다.

SKT 배당 히스토리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삼성전자 ===>>> 배당 확인하기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배당에 관한 insight를 위한]

배당주 투자시 고려해야 할 점 – 배당주 투자 후 어떻게 재투자를 해야 하는지?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 수익률의 비교 분석

2023년 7월 SK텔레콤의 자기주식 매수 공시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 수정일

배당주 투자 장점 및 단점을 따져봅시다

배당주는 어떤 면에서 채권하고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시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일목 요연하게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통상 배당주에 관심을 갖는 분들은 성장주 투자니 가치주 투자니 하는 것들을 겪고 나서 배당주로 옮겨온 경우가 많습니다. 고액 자산가들도 배당주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배당주는 어느 면에서 채권하고 비슷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배당주 투자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배당주 투자 장점

첫째, 고정적이면서 안정적인 현금흐름이 생깁니다.

위의 내용은 꼭 맞는 말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배당주는 기업이 경영활동을 통하여 얻게 되는 당기순이익을 주주에게 돌려주는 개념으로 지급되는 것이지, 채권처럼 기업이 돈을 벌든 못벌든 고정적인 이자를 지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주로 인식이 되어 있는 종목들은 통상적으로 안정적인 당기순이익을 얻고, 그 순이익을 주주에게 돌려주기 때문에 급격하게 배당을 줄이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아서 수익성이 급감하게 되면 흔히 말하는 배당컷(dividend cut)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둘째, 매 분기 또는 매 해 발생하는 배당금액을 재투자 할 수 있으니 복리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안정적인 수입이 지속적으로 창출된다면 해당 금액을 다시 배당주 매입에 사용함으로써 주식의 수량을 늘릴 수 있고, 이는 배당금액 상승으로 연결되므로 재투자를 통한 복리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발판이 됩니다.

셋째, 장기 투자시 배당금으로 원금의 일부를 회수하는 효과가 있어서 투자에서 심리적인 안정을 누릴 수 있습니다.

성장주에 투자하는 경우, 만약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원금에 대한 순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서 투자자의 마음은 고통 속에 빠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배당주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주가 하락시에 추가 투자를 통해서 시가배당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받았던 배당수익이 주가 하락분을 만회해주는 범퍼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가하락시기에도 심리적인 안정을 누릴 수 있어 자신감 있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넷째, 일정 부분 인플레이션 헷지 기능을 제공합니다(inflation hedge)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이는 기업의 판매가격의 상승으로 연결되므로 일정부분 배당금액 상승에도 연결되게 되므로 물가 상승이라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화폐 가치의 하락시기에 배당금액 상승으로 방어를 해주게 됩니다.

배당주 투자의 단점

첫째, 세금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10억원 이상의 대주주가 아니라면 주식의 양도에 대한 세금이 없는 상태입니다. 미국주식은 연간 250만원의 양도차익까지는 비과세입니다. 그러나 이자와 같이 배당을 수령하게 되면 비과세 정책을 적용받는 ISA계좌 등 특별 계좌를 통한 것이 아니라면 배당소득세가 15.4% 부과되게 됩니다.

둘째, 아무래도 골고른 분산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은 기관투자자와는 달리 공매도를 자유롭게 하지도 못하지만, 보유하고 있는 자금을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도 쉽지 않은 환경입니다. 결국 분산투자라고 해봐야 주식의 섹터를 나눠서 투자하는 것인데, 이마저도 배당주 위주로 구성을 하게 되면 포트폴리오를 제대로 만들기 어렵게 됩니다. 물론 배당주에 일정 비율을 투자하고 나머지는 성장주/가치주에 투자를 하면 되겠습니다만, 아무래도 배당주에 집중하게 되면 분산투자가 쉽지 않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셋째, 배당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기업의 경영환경, 거시경제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환경적인 영향을 덜 받는 회사를 잘 구분하여 투자해야 배당컷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넷째, 금리 상승기에 배당주도 주가 하락을 경험하게 됩니다. 성장주는 금리 상승기에 상대적으로 더욱 하락하기 때문에 배당주가 낫긴 합니다만, 체계적인 위험(systematic risk)에 대해서 배당주도 완전한 방어가 되지 않습니다. 이런 점이 배당주 투자시에 주의해야 할 점으로 보입니다. 반면 상대적 측면에서는 성장주 대비해서는 장점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정리하며

배당주에 투자할 경우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적은 씨드머니(Seed money)로는 배당주 투자의 매력을 느끼기 힘든 것이 사실이고, 최근에 급등락하는 2차전지 등 성장주를 보면 배당주 투자는 매력이 떨어진다고느껴질 수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입을 제공하는 채권과 같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배당주 투자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생각되니 배당주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공부하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KT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배당주 투자시 고려해야 할 점 – 배당주 투자 후 어떻게 재투자를 해야 하는지?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 수익률의 비교 분석

2023년 7월 SK텔레콤의 자기주식 매수 공시

최종수정일

4분기 배당주, 배당락, 배당금 지급일, 분기배당주

4분기 배당주는 어떤 종목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4분기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언제까지 주식을 매입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4분기 배당을 노리고 주식을 매입한 경우 언제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분기 배당을 주는 기업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4분기 배당주 어떤 종목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4분기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언제까지 주식을 매입해야 하는지 배당락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4분기 배당을 노리고 주식을 매입한 경우 언제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분기 배당을 주는 기업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4분기 배당주, 연배당주와 동일합니다.

4분기 배당주는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면 4분기는 12/31일이 기준일이 되기 때문에 모든 기업들이 배당을 주는 기준일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즉, 4분기 배당락일 전에 주식을 매입해서 기준일까지만 보유하고 있는다면 4분기 배당, 또는 연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분기 배당주는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로 4번에 나눠서 1년치 배당을 지급하는 반면 연배당 기업들은 일년에 한번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4분기 배당락일

4분기 배당락일 (2023년 4분기)

’23년 4분기 배당락일은 12/29(금) 휴장일을 감안하면 12/28(목)까지 매수처리가 되어야 하며, 매수처리는 HTS/MTS에서 주문 후 2일이 걸린다는 점을 계산하면 HTS/MTS에서 주문체결을 12/26(화)까지 완료해야 합니다.

따라서 아마도 4분기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마지막 매수일은 12/26(화)이 될 것이며, 12/27(수)는 배당락일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배당락일은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권리가 떨어졌다는 의미로 ‘떨어질 낙’을 쓰기도 하구요, 한편으로는 배당받을 수 있는 권리가 없으므로 그날에는 배당주의 주가가 떨어진다는 의미로도 배당락(配當落, exdividend)을 사용합니다.

배당을 주는 주식들은 배당락일까지 서서히 주가가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른 외부적인 하락 요인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말이죠) 그러다가 배당락일이 되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없어지게 되므로 배당금액 수준만큼 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4분기 배당금 지급시기, 배당금은 언제 들어오나?

이제 배당락일 전까지 배당주를 매수했다면 해당 배당금은 언제 입금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4분기 배당금은 1분기, 2분기, 3분기와는 달리 조금 늦게 들어옵니다. 우리나라는 기업들이 1년간 사업을 하고 나서 결산을 하게 되고, 그 내용을 재무제표로 작성하여 주주들에게 보고하게 됩니다. 그런 절차가 바로 정기주주총회를 통해서 완료가 됩니다.

정기주주총회는 일반적/대체적으로 3월에 있습니다. 따라서 4분기 배당금(결산 배당금, 연배당금)은 매년 4월 중에 지급됩니다. 세부적인 배당금 지급일자는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들의 업무처리 일정에 따라 다 다르기 때문에 배당금 지급시기가 도래하면 따로 확인해봐야 합니다. 보통은 3월말까지 정기주주총회를 끝내게 되고, 빠른 기업들은 4월 15일경, 좀 늦은 기업들은 4월 20일 이후에 지급합니다.

분기 배당주

이제 분기 배당주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대표적 기업인 삼성전자는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표적인 통신주인 SK텔레콤도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금융주, 리츠 등 관련 주들도 분기배당을 하기도 하고 반기배당을 하기도 합니다.

최근 수익률이 좋은 분기 배당주는 다음과 같은 종목들이 있으니 기업정보, 주가, 실적 등 잘 찾아보시고 충분히 알아보신 후에 투자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은 최근일자 주가를 기준으로 산출한 시가배당률입니다. 시가배당율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면 하락하게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가배당율과 주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채권의 가격과 금리가 반대 방향인 것과 동일한 원리입니다)

삼성전자(약 2.1%), 삼성전자우선주(약 2.6%), SK하이닉스(약 1%), SK텔레콤(약 6.5%), CJ제일제당(1.34%), CJ제일제당우선주(4.1%), 삼양옵틱스(약 7%), 쌍용C&E(약 6.3%), 신한지주(약 6.1%), 하나금융지주(약 5.4%), KB금융(약 5.1%), SK리츠(약 6.1%), 한온시스템(약 3.8%), 씨젠(약 3.7%), POSCO홀딩스(약 1.6%)

해외기업으로는 애플(약 0.55%), 마이크로소프트(약 0.86%), 스타벅스(약 2.26%), 제이피모건체이스(약 2.88%), 펩시코(약 2.9%), 블랙록(약 3.0%), 코카콜라(약 3.2%), 세브론(약 3.6%), SCHD(약 3.67%), 모간스탠리(약 6.1%), AT&T(약 7.3%), 알트리아그룹(MO, 8.9%) 등이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시 고려할 점 (ft. SK텔레콤, 분기배당)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에 투자하는 경우를 지난 포스팅에서 비교한 것에 이어, 배당주 투자시 주가의 변동폭이 있는 경우에는 수익률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그 결과를 해석해보고자 합니다.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에 투자하는 경우를 지난 포스팅에서 비교한 것에 이어, 배당주 투자시 주가의 변동폭이 있는 경우에는 수익률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그 결과를 해석해보고자 합니다.

배당주 투자시 고려할 점

배당주 투자시 시나리오

5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하였습니다. 우선 기본 모델은 SKT(SK텔레콤)의 주가가 2년간, 7분기 동안 동일한 주가를 유지하는 경우입니다. Case2는 분기마다 약 5% 상승 후 5% 하락하는 모델입니다. 5% 수준으로 등락하는 경우인데 첫 분기에 -5%로 시작하는 경우입니다. Case3도 동일하게 5% 등락 모델이나 첫 분기가 +5%로 시작하는 경우입니다. Case4와 Case5는 3분기 동안 -1% 3회 후 그 다음 분기에 +3%를 반복하거나, 3분기 동안 +1%씩 3회 후 다음 분기에 -3% 하는 경우입니다.

  • Case1 : Base Case
  • Case2 : -5%, +5.26%, -5%, +5.27%, -5%, +5.26%, -5%, +5.26%
  • Case3 : +5.26%, -5%, +5.27%, -5%, +5.26%, -5%, +5.26%, -5%
  • Case4 : +1%, +1%, +1%, -3%, +1%, +1%, +1%, -3%
  • Case5 : -1%, -1%, -1%, +3%, -1%, -1%, -1%, +3%
  • 모두 47,000원에서 시작해서 등락을 반복하나, 2년 후(8분기)에 결국 47,000원에 도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이유는 마지막의 주가가 많이 오르면 원금이 크게 오르고, 반대로 내리면 원금의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분석상 이렇게 가정하였습니다.
SKT 분기배당

Case별 데이터

Case별 결과 데이터 확인

지난 포스팅에서 정기예금과의 투자성과를 비교하였듯이, 여전히 초기투자금액은 1억원을 가정하고 있고, 매분기별로 나오는 배당금액도 주당 830원으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SK텔레콤의 주가의 변동이 나타나는 모습별로 수익률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분석결과는 아래 표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우선 위의 배당주투자/정기예금 부분은 지난번 포스팅에서 보여드렸던 결과이오니 관련된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아래에 있는 Case1~Case5가 위에서 가정한 대로 SK텔레콤의 주가가 변동하였을 때 최종 수익률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SK텔레콤 분기배당

Case 1~3번 결과

Case 1~3번 결과 해석

Case1은 주가가 일정하다는 전제이므로 기존에 분석한 내용과 수익률이 동일합니다. Case1이 기준점이 되는 것입니다. 이제 Basic Case에서 조금 주가의 변동폭을 가정해보겠습니다. 분기단위로 오르락 내리락하되, +5%/-5%를 가정한 것이 바로 Case2와 Case3입니다. 2개의 케이스는 분기 단위로 약 5% 수준의 변동폭이 있는 경우이나, 수익률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가 있습니다.

분기 단위 기준으로 배당을 받게 되면 그 배당금을 가지고 다시 SK텔레콤의 주식을 매수하는 재투자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2025년 8월 15일 배당을 받은 것을 재투자하더라도 지금 분석상 설정된 만기가 2025년 9월 1일이므로 15일 이후에 주식을 매도하게 됩니다. 그래서 사실상 총 7개 분기 동안 재투자가 일어나게 됩니다. Case2의 경우 첫 분기가 -5%였다면 SK텔레콤의 주가가 내렸을 때 재투자가 일어나는 횟수가 4번 발생하게 되나, Case3의 경우는 첫 분기가 +5%이기 때문에 SK텔레콤의 주가가 내렸을 때 재투자하는 횟수는 총 3회가 됩니다.

Case2의 최종 수익률은 6.45%, Case3의 최종 수익률은 6.11%로 Case2가 더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도출되는 implication은 재투자시에는 낮은 주가에서 실행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입니다. 당연한 결과 입니다. 배당액은 분기당 830원으로 고정이 되어 있는 상황에서 더 낮은 주가로 투자할 수 있다면 당연히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겠죠

문제는 주가가 한없이 내려가는 것이 문제일텐데, 통신주처럼 크게 오르지도, 크게 내리지도 않는 성격의 주가라면 변동이 발생했을 때 아무래도 낮은 가격에 도달했을 때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Case 4 ~ 5번 결과

Case 4 ~ 5번 결과 해석

이제 Case 4, Case 5를 살펴보겠습니다. Case4는 3개 분기는 살짝 오르는 수준을 가정한 것입니다. 분기단위로 계속 +1%씩 성장하다가 갑자기 1개 분기에서 -3%의 폭락을 경험합니다. 그리고 다시 매분기 +1%씩 3개 분기동안 성장하다가 다시 -3%를 경험하는 시나리오입니다. 만기시 주가는 약 46,940원 수준을 가정하였습니다. (47,000원 수준임)

Case5는 3개 분기동안 -1%를 경험하다가 갑자기 1개 분기에서 +3% 폭등을 경험하는 시나리오입니다.

결과를 보면 Case5가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지속 성장해서 높은 주가를 장기간 유지할 경우에는 재투자 수익률이 떨어지게 되므로 Case4는 너무 안좋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97%)

그러나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재투자 수익률이 높게 반영되므로 결국 최종적으로는 기본 Case1와 유사한 수익률을 기록하게 됩니다.

배당주 투자 시나리오 결과 총정리

총정리

이렇게 SKT와 같은 배당주에 투자할 경우에는 주가가 계속 변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런 주가 변동에 따라서 어떻게 재투자에 대응하느냐에 따라서도 수익률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알 수 있는 점은, 만기가 없이 투자한다면 무조건 낮은 주가에서는 매수하여 장기보유하고, 배당이 나오는 부분은 잘 모았다가 주가가 떨어지는 시점에 매수하는 전략으로 대응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중요한 것은 전체 매수한 평균 단가 수준 또는 그 이상에 매각을 해야 배당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이 약 6~7%로 높다고 하여 편하게 투자했다가 결국 원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손실을 입게 된다면 전체적인 수익률에 나쁜 영향을 가져올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른 글

[다른 배당주의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 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 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수정일

배당주(SK텔레콤) 투자와 정기예금 투자 성과 비교

요즘 국내 주식시장도 배당성향이 올라가면서 높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하는 주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연간 배당하던 기업들이 분기배당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제 배당주 투자가 어떤 것인지 잘 알고 투자해야 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요즘 국내 주식시장도 배당성향이 올라가면서 높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하는 주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연간 배당하던 기업들이 분기배당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제 배당주 투자가 어떤 것인지 잘 알고 투자해야 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정기예금 및 배당주 투자 비교를 위한 가정사항

총 투자 horizon은 2년으로 가정합니다. 그리고 초기투자원금은 1억원입니다. 이제 어디에 어떻게 투자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맘편하게 정기예금에 예금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더 높은 수익을 위하여 좋은 배당주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주요 가정사항

(1) 정기예금을 1년 단위 복리 투자한다. 최근 정기예금금리는 약 4.08% 수준 가정
(2) 배당주는 분기배당주인 SK텔레콤 투자하는 것을 가정. 최근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7.06% 수준
(3) SK텔레콤 분기배당금액은 2년간 고정 유지되는 것을 가정 (분기 주당 830원, 연간 배당액 주당 3,320원)
(4) 초기투자액은 1억원임
(5) 주가변동은 없는 것으로 가정 (기본전제)

1. 정기예금 투자

앞에서 언급한 대로 2년간 정기 예금에 투자하는 경우 Cash Flow는 아래와 같습니다. 초기 1억원의 투자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나면 연 이자가 세후 기준 약 345만원 발생합니다. (세금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표준 이자소득세율 15.4%)를 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이자를 포함하여 1억 345만원을 재예치합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2025년 8월 31일에 이자 약 357만원 받고, 만기원금을 되찾게 됩니다. 그래서 2년 후 총 회수한 자산은 1억 702만원이 됩니다.


2. 배당주(SK텔레콤) 투자

이제 배당주에 투자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좀 복잡하게 보이지만, 결국 쉽게 생각하면 분기배당액을 다시 주식매수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우선 최근 SKT의 주가는 약 47,000원 선에서 거래 되고 있기 때문에 편의상 47,000원의 가격에 투자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그러면 초기에 1억원어치를 매수하게 되므로 총 2,127주를 매수하게 되고, 현금잔액 31,000원이 남게 됩니다.

분기마다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량에 따라서 배당금을 830원을 지급하게 되므로 ’23년 3분기 배당금액을 11/15일경 약 149만원 수령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배당소득세율 15.4% 가정하였습니다.

이제 남아있던 예수금 31,000원 + 1,493,537원을 합쳐서 다시 주당 47,000원에 최대로 매수하게 됩니다. 그러면 SK텔레콤을 32주 추가 매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11월 15일 기준 SKT 주식을 2,159주를 보유하게 됩니다.

이제 해가 넘어가서 2024년 4월에 정기배당(‘23.12월 기준), ’24년 5월 배당(‘24.3월 기준)은 모두 2,159주 기준으로 배당수익이 세후 기준 151만원이 생깁니다. 그러면 다시 추가 매수를 진행합니다. (배당은 기준일자에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를 기준으로 배당금액을 지급하기 때문에 ‘24.4월에 보유주식이 2,191주라도, 배당은 전년도말 보유기준 2,159주를 기준으로 배당금액이 지급되게 됩니다)

이렇게 계속 반복하여 2년간 투자하게 되면, ’25년 8월말 기준 SKT의 주식을 총 2,394주를 보유하게 됩니다. 당초에 가정한대로, SKT의 주가가 계속 47,000원으로 유지된다는 가정이기 때문에(현실적이진 않습니다만 분석상 어쩔 수 없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2년이 지난 시점에 SKT 보유주식을 모두 매각하여 현금화할 경우 총 보유하게 되는 자산은 1억 1,254만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투자성과 비교

정기예금과 SKT 투자 성과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KT 투자는 2년간 1,254만원 수익을, 정기예금은 702만원의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당연히 배당수익률이 약 7%인 SK텔레콤 투자가 정기예금보다 높은 연간수익률을 보이는 것이 당연합니다. 약 552만원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SKT의 주가가 변동이 없다는 전제, 배당수익도 일정하다는 전제입니다.


4. 추가 가정사항을 넣는다면

이제 추가적인 질문이 생깁니다. 앞에서 말도 안되는 가정을 흔들어서 만약 배당주의 주가가 변한다면 투자 성과는 어떻게 될 것인지? 그리고 배당받은 금액을 주식에 재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현금자산으로 보유하는 전략을 가져가는 경우에 얼마나 수익률이 차이가 날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이런 부분들은 다음 포스팅에서 더 자세히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3년 3분기 배당락 (배당기준일 뜻)

배당락, 배당기준일, 배당지급일 등 어떤 뜻인지 알아보면서 삼성전자의 사례를 같이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제 곧 돌아오는 ’23년 3분기 배당기준일 및 배당락일을 알아보고 언제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지 따져보겠습니다.

배당락, 배당기준일, 배당지급일 등 어떤 뜻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삼성전자의 사례를 같이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이제 곧 돌아오는 ’23년 3분기 배당기준일 및 배당락일을 알아보고 언제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23년 3분기 배당락일

배당락 및 배당기준일 뜻

주식 배당은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기업의 성과를 배분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들은 2023년 영업을 통해서 이익을 벌어들이고 영업이익/당기순이익의 일정 비율을 배당으로 지급합니다.

은행에 예금을 하게 되면 3개월 예금에 따라서 3개월 금리를 지급하고, 6개월간 예금하게 되면 6개월에 해당하는 금리를 지급하게 되는데요. 삼성전자에 3개월간 투자를 하게 되면 동일하게 영업이익에 대한 주주로서 배당수익을 받게 됩니다. 다만 여기서 알아두어야 할 점은 기업들은 3개월의 기간에 대해서 배당을 주는 것이 아니라 3개월마다 시점을 정해서 그 시점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에게 배당을 지급한다는 점입니다.

삼성전자 사례

아래는 2023년 2분기 분기배당에 관련한 공시입니다.

[출처 : 삼성전자 2023년 2분기 배당 공시]

배당 구분에는 분기 배당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1년에 4회에 걸쳐서 배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배당종류는 현금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현금이외에 주식으로 배당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1주당 배당금액은 보통주나 종류주식(우선주를 의미) 모두 1주당 361원을 배당금액으로 책정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삼성전자 주식을 1,000주를 보유하고 있는 주주라면 이번 분기배당으로 361,000원을 배당받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3년 6월 30일 기준 삼성전자의 주요주주를 살펴보면 삼성생명이 총 518,277,478주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2분기 배당금액으로 약 1,871억원을 배당받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 다음이 삼성물산으로 총 298,818,100주를 보유하고 있으니 배당금으로 약 1,078억원을 받았을 것입니다. 삼성화재는 배당금액으로 320억원, 삼성복지재단이 배당으로 23억원을 받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일가에게 지급된 배당금 규모

이제 삼성가에서는 얼마나 받았을지 추정해 보겠습니다. 홍라희 총 117,509,439주 / 배당금액 424억원, 이재용 총 97,551,953주/ 배당금액 352억원, 이부진 총 55,531,799주 / 배당금액 200억원, 이서현 총 55,531,799주 / 배당금액 200억원입니다.

4명 배당금액 합산액은 약 1,177억원입니다. 이렇게 분기당 배당금액을 수령하고 있으니 연간으로 동일 금액을 배당받는다고 가정하면 총 4,710억원을 배당금액으로 받게 됩니다.

배당기준일 및 배당락일 의미

위의 공시된 사항을 보시면 6번에 배당기준일이 있습니다. 2023년 6월 30일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배당기준일은 해당일자에 삼성전자 주주명부에 등재되어 있는 주주를 대상으로 배당금을 지급한다는 뜻입니다. 즉 증권사 HTS를 통해서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하여 주주로 등재가 되는 날이 6/30일이어야 배당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식을 매수하게 되면 바로 주주명부에 등재되는 것이 아니라 대략 2 영업일 후에 반영됩니다. 따라서 6월 28일까지 삼성전자 주식매수 거래체결이 되는 경우 6/30일에 주주명부에 등재가 됩니다. 만약 6월 29일에 거래체결이 되는 경우 7/1일에 주주명부에 등재가 되어 2분기 배당기준일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6월 29일이 배당락일이 되는 것입니다.

배당지급일

배당지급일은 실제로 배당금액이 통장에 입금되는 날을 의미합니다. 2분기 배당금 지급공시에 의하면 삼성전자의 2분기 배당금 지급일자는 2023년 8월 16일로 되어 있습니다. 내일 2분기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들에게 배당금액이 통장으로 지급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6월 28일에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체결하고, 6월 29일에 삼성전자 주식을 매도체결한 경우에도 8월 16일자에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6월 28일에 매수하면 6/30일자에 주주명부에 등재가 되고, 6월 29일에 매도하게 되면 7/1일자 주주명부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배당기준일에는 주주로 포함되었기 때문입니다.

2023년 3분기 배당기준일

’23년 3분기 배당기준일 및 배당락일

2023년 3분기 배당기준일은 대부분 9월 30일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캘린더를 보면 9월 28일(목)~ 9월 29일(금), 9월 30일(토)까지 추석연휴입니다. 따라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업무처리를 감안하다면 아마도 9월 27일(수)까지 주주명부에 등재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구요. 3일전 거래 기준을 고려한다면 9월 25일(월)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3분기 배당금액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9월 26일(화)는 배당락일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표적인 분기배당을 주는 회사들 모두 해당할 것으로 보이구요. 삼성전자, SK텔레콤,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JB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등등 배당금을 챙기실 분들은 꼼꼼히 날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장기적으로 배당주에 꾸준히 투자하시는 분들은 배당지급일자만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이는 주식들, 배당히스토리]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 읽으러 가기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내역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 읽으러 가기

KT 배당 히스토리 ===>>> 확인하기

LG유플러스 배당 히스토리 ===>>>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배당 히스토리 ===>>> 확인하기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수정일

Optimized by Optim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