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배당금 히스토리 (2025년 추정,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최근 배당주 중에서 수익률이 좋은 SK텔레콤의 과거 배당 내역을 정리하였습니다. SKT의 최근 배당수익률은 시가 기준으로 약 6.3%~6.4%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SK텔레콤 배당금 연도별 아래와 같습니다. ’21년은 SK스퀘어와의 분할이 있었던 시기로 주가와 배당금액이 트렌드와 맞지 않습니다. 당시 주가는 약 25~30만원 수준으로 SK스퀘어와의 분할 후 주가가 1/5로 줄어들어 약 6만원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한다면 배당수익률은 일시적으로 약 4% 수준이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분할 후 SKT는 매분기 고정적으로 주당 830원을 배당하고 있습니다. 다만 ’23년말에 특별배당 형태로 1,050원을 배당하였던 전례가 있습니다.

’24년 4분기 결산 배당금액도 830원이 아닌, 1천원 이상의 배당을 줄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통상 SKT는 배당금액을 줄이지 않았던 것을 본다면 최소 작년말 수준의 배당을 지급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울러 ’25년 실적 상승에 따라 배당금액을 조금 더 올려서 지급하면 좋겠습니다.

Screenshot

—–updated : 2024년 2월 6일 ——

최근 배당주 중에서 수익률이 좋은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정리하였습니다. SK텔레콤은 기존에 중간배당/연배당하여 일년에 총 2회 배당금을 지급하였으나, 2021년 3월 정기주총에서 분기배당 제도로 변경하였습니다. SKT는 2021년 2분기부터 분기배당을 시행하였습니다.

이후로는 매년 4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SKT의 최근 배당수익률은 시가 기준 약 6.3%~6.4% 6.3% ~ 7.0%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SK텔레콤 2023년 4분기 배당금 확정

SK텔레콤 이사회(‘24.2.2)에서 결산 배당금액을 1,050원으로 확정 의결하였습니다. 기존 분기당 830원씩 배당을 해 왔었는데요, 이번에는 특별 배당인지 아닌지 확인이 안되지만 배당금액을 830원에서 1,050원으로 상향하여 지급하기로 하였네요

이런 추세로 배당금액을 상향해서 setting한다면 좋겠지만, 실적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할 부분 입니다. 조만간 SKT 실적발표 등 관련내용에 대해서 언급이 있다면 지속 추적하여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이로써 최근 주가 기준으로 볼 때, SKT의 배당수익률은 약 7%를 상회하는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향후 금리하락을 고려한다면 배당수익률 관점에서 SKT의 주가는 상승 여력을 가지고 있지 않나 추측해 봅니다.

SK텔레콤 2023년 배당 히스토리

(업데이트 후)

(업데이트 전)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32023-12-312024-04-26 예상830원미확정
3Q232023-09-302023-11-14830원미확정
2Q232023-06-302023-08-11830원지급완료
1Q232023-03-312023-05-10830원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3,320원
최근 주가(‘23.9.27) 52,0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38%

SK텔레콤 히스토리

SK텔레콤 배당

SK텔레콤 2022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22022-12-312023-04-27830원지급완료
3Q222022-09-302022-11-16830원지급완료
2Q222022-06-302022-08-17830원지급완료
1Q222022-03-312022-05-17830원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3,320원
연말 주가(‘22.12.27) 49,3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6.73%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SK텔레콤 배당 히스토리

SK텔레콤 2021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12021-12-312022-04-221,660원지급완료
3Q212021-09-302021-11-18500원지급완료
2Q212021-06-302021-08-10500원지급완료
1Q21지급완료
연간 배당금 합계2,660원
연말 주가(‘21.12.28) 61,3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4.34%

SKT 배당 히스토리 정리

SKT 배당 히스토리 정리

SK텔레콤 2020년 배당 내역

구분배당기준일배당금 지급일배당금비고
4Q202020-12-312021-04-219,000원지급완료
3Q20
2Q202020-06-302020-08-191,000원지급완료
1Q20
연간 배당금 합계10,000원
연말 주가(‘20.12.28) 247,000원 기준 : 시가배당수익률 4.05%

’21년 11월 29일, SK텔레콤은 주식을 5:1로 분할하였습니다. (액면가 500원을 100원으로 변경함) ’20년 당시 주가 247,000원의 주가는 분할 후로 환산하면 약 49,400원 수준입니다.

SKT 배당 히스토리

[다른 배당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삼성전자 ===>>> 배당 확인하기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배당에 관한 insight를 위한]

배당주 투자시 고려해야 할 점 – 배당주 투자 후 어떻게 재투자를 해야 하는지?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 수익률의 비교 분석

2023년 7월 SK텔레콤의 자기주식 매수 공시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 수정일

배당주 투자시 고려할 점 (ft. SK텔레콤, 분기배당)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에 투자하는 경우를 지난 포스팅에서 비교한 것에 이어, 배당주 투자시 주가의 변동폭이 있는 경우에는 수익률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그 결과를 해석해보고자 합니다.

배당주 투자와 정기예금에 투자하는 경우를 지난 포스팅에서 비교한 것에 이어, 배당주 투자시 주가의 변동폭이 있는 경우에는 수익률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그 결과를 해석해보고자 합니다.

배당주 투자시 고려할 점

배당주 투자시 시나리오

5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하였습니다. 우선 기본 모델은 SKT(SK텔레콤)의 주가가 2년간, 7분기 동안 동일한 주가를 유지하는 경우입니다. Case2는 분기마다 약 5% 상승 후 5% 하락하는 모델입니다. 5% 수준으로 등락하는 경우인데 첫 분기에 -5%로 시작하는 경우입니다. Case3도 동일하게 5% 등락 모델이나 첫 분기가 +5%로 시작하는 경우입니다. Case4와 Case5는 3분기 동안 -1% 3회 후 그 다음 분기에 +3%를 반복하거나, 3분기 동안 +1%씩 3회 후 다음 분기에 -3% 하는 경우입니다.

  • Case1 : Base Case
  • Case2 : -5%, +5.26%, -5%, +5.27%, -5%, +5.26%, -5%, +5.26%
  • Case3 : +5.26%, -5%, +5.27%, -5%, +5.26%, -5%, +5.26%, -5%
  • Case4 : +1%, +1%, +1%, -3%, +1%, +1%, +1%, -3%
  • Case5 : -1%, -1%, -1%, +3%, -1%, -1%, -1%, +3%
  • 모두 47,000원에서 시작해서 등락을 반복하나, 2년 후(8분기)에 결국 47,000원에 도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이유는 마지막의 주가가 많이 오르면 원금이 크게 오르고, 반대로 내리면 원금의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분석상 이렇게 가정하였습니다.
SKT 분기배당

Case별 데이터

Case별 결과 데이터 확인

지난 포스팅에서 정기예금과의 투자성과를 비교하였듯이, 여전히 초기투자금액은 1억원을 가정하고 있고, 매분기별로 나오는 배당금액도 주당 830원으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SK텔레콤의 주가의 변동이 나타나는 모습별로 수익률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분석결과는 아래 표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우선 위의 배당주투자/정기예금 부분은 지난번 포스팅에서 보여드렸던 결과이오니 관련된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아래에 있는 Case1~Case5가 위에서 가정한 대로 SK텔레콤의 주가가 변동하였을 때 최종 수익률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SK텔레콤 분기배당

Case 1~3번 결과

Case 1~3번 결과 해석

Case1은 주가가 일정하다는 전제이므로 기존에 분석한 내용과 수익률이 동일합니다. Case1이 기준점이 되는 것입니다. 이제 Basic Case에서 조금 주가의 변동폭을 가정해보겠습니다. 분기단위로 오르락 내리락하되, +5%/-5%를 가정한 것이 바로 Case2와 Case3입니다. 2개의 케이스는 분기 단위로 약 5% 수준의 변동폭이 있는 경우이나, 수익률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가 있습니다.

분기 단위 기준으로 배당을 받게 되면 그 배당금을 가지고 다시 SK텔레콤의 주식을 매수하는 재투자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2025년 8월 15일 배당을 받은 것을 재투자하더라도 지금 분석상 설정된 만기가 2025년 9월 1일이므로 15일 이후에 주식을 매도하게 됩니다. 그래서 사실상 총 7개 분기 동안 재투자가 일어나게 됩니다. Case2의 경우 첫 분기가 -5%였다면 SK텔레콤의 주가가 내렸을 때 재투자가 일어나는 횟수가 4번 발생하게 되나, Case3의 경우는 첫 분기가 +5%이기 때문에 SK텔레콤의 주가가 내렸을 때 재투자하는 횟수는 총 3회가 됩니다.

Case2의 최종 수익률은 6.45%, Case3의 최종 수익률은 6.11%로 Case2가 더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도출되는 implication은 재투자시에는 낮은 주가에서 실행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입니다. 당연한 결과 입니다. 배당액은 분기당 830원으로 고정이 되어 있는 상황에서 더 낮은 주가로 투자할 수 있다면 당연히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겠죠

문제는 주가가 한없이 내려가는 것이 문제일텐데, 통신주처럼 크게 오르지도, 크게 내리지도 않는 성격의 주가라면 변동이 발생했을 때 아무래도 낮은 가격에 도달했을 때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Case 4 ~ 5번 결과

Case 4 ~ 5번 결과 해석

이제 Case 4, Case 5를 살펴보겠습니다. Case4는 3개 분기는 살짝 오르는 수준을 가정한 것입니다. 분기단위로 계속 +1%씩 성장하다가 갑자기 1개 분기에서 -3%의 폭락을 경험합니다. 그리고 다시 매분기 +1%씩 3개 분기동안 성장하다가 다시 -3%를 경험하는 시나리오입니다. 만기시 주가는 약 46,940원 수준을 가정하였습니다. (47,000원 수준임)

Case5는 3개 분기동안 -1%를 경험하다가 갑자기 1개 분기에서 +3% 폭등을 경험하는 시나리오입니다.

결과를 보면 Case5가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지속 성장해서 높은 주가를 장기간 유지할 경우에는 재투자 수익률이 떨어지게 되므로 Case4는 너무 안좋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97%)

그러나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재투자 수익률이 높게 반영되므로 결국 최종적으로는 기본 Case1와 유사한 수익률을 기록하게 됩니다.

배당주 투자 시나리오 결과 총정리

총정리

이렇게 SKT와 같은 배당주에 투자할 경우에는 주가가 계속 변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런 주가 변동에 따라서 어떻게 재투자에 대응하느냐에 따라서도 수익률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알 수 있는 점은, 만기가 없이 투자한다면 무조건 낮은 주가에서는 매수하여 장기보유하고, 배당이 나오는 부분은 잘 모았다가 주가가 떨어지는 시점에 매수하는 전략으로 대응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중요한 것은 전체 매수한 평균 단가 수준 또는 그 이상에 매각을 해야 배당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이 약 6~7%로 높다고 하여 편하게 투자했다가 결국 원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손실을 입게 된다면 전체적인 수익률에 나쁜 영향을 가져올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른 글

[다른 배당주의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 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 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수정일

배당주(SK텔레콤) 투자와 정기예금 투자 성과 비교

요즘 국내 주식시장도 배당성향이 올라가면서 높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하는 주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연간 배당하던 기업들이 분기배당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제 배당주 투자가 어떤 것인지 잘 알고 투자해야 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요즘 국내 주식시장도 배당성향이 올라가면서 높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하는 주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연간 배당하던 기업들이 분기배당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제 배당주 투자가 어떤 것인지 잘 알고 투자해야 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정기예금 및 배당주 투자 비교를 위한 가정사항

총 투자 horizon은 2년으로 가정합니다. 그리고 초기투자원금은 1억원입니다. 이제 어디에 어떻게 투자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맘편하게 정기예금에 예금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더 높은 수익을 위하여 좋은 배당주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주요 가정사항

(1) 정기예금을 1년 단위 복리 투자한다. 최근 정기예금금리는 약 4.08% 수준 가정
(2) 배당주는 분기배당주인 SK텔레콤 투자하는 것을 가정. 최근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7.06% 수준
(3) SK텔레콤 분기배당금액은 2년간 고정 유지되는 것을 가정 (분기 주당 830원, 연간 배당액 주당 3,320원)
(4) 초기투자액은 1억원임
(5) 주가변동은 없는 것으로 가정 (기본전제)

1. 정기예금 투자

앞에서 언급한 대로 2년간 정기 예금에 투자하는 경우 Cash Flow는 아래와 같습니다. 초기 1억원의 투자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나면 연 이자가 세후 기준 약 345만원 발생합니다. (세금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표준 이자소득세율 15.4%)를 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이자를 포함하여 1억 345만원을 재예치합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2025년 8월 31일에 이자 약 357만원 받고, 만기원금을 되찾게 됩니다. 그래서 2년 후 총 회수한 자산은 1억 702만원이 됩니다.


2. 배당주(SK텔레콤) 투자

이제 배당주에 투자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좀 복잡하게 보이지만, 결국 쉽게 생각하면 분기배당액을 다시 주식매수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우선 최근 SKT의 주가는 약 47,000원 선에서 거래 되고 있기 때문에 편의상 47,000원의 가격에 투자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그러면 초기에 1억원어치를 매수하게 되므로 총 2,127주를 매수하게 되고, 현금잔액 31,000원이 남게 됩니다.

분기마다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량에 따라서 배당금을 830원을 지급하게 되므로 ’23년 3분기 배당금액을 11/15일경 약 149만원 수령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배당소득세율 15.4% 가정하였습니다.

이제 남아있던 예수금 31,000원 + 1,493,537원을 합쳐서 다시 주당 47,000원에 최대로 매수하게 됩니다. 그러면 SK텔레콤을 32주 추가 매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11월 15일 기준 SKT 주식을 2,159주를 보유하게 됩니다.

이제 해가 넘어가서 2024년 4월에 정기배당(‘23.12월 기준), ’24년 5월 배당(‘24.3월 기준)은 모두 2,159주 기준으로 배당수익이 세후 기준 151만원이 생깁니다. 그러면 다시 추가 매수를 진행합니다. (배당은 기준일자에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를 기준으로 배당금액을 지급하기 때문에 ‘24.4월에 보유주식이 2,191주라도, 배당은 전년도말 보유기준 2,159주를 기준으로 배당금액이 지급되게 됩니다)

이렇게 계속 반복하여 2년간 투자하게 되면, ’25년 8월말 기준 SKT의 주식을 총 2,394주를 보유하게 됩니다. 당초에 가정한대로, SKT의 주가가 계속 47,000원으로 유지된다는 가정이기 때문에(현실적이진 않습니다만 분석상 어쩔 수 없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2년이 지난 시점에 SKT 보유주식을 모두 매각하여 현금화할 경우 총 보유하게 되는 자산은 1억 1,254만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투자성과 비교

정기예금과 SKT 투자 성과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KT 투자는 2년간 1,254만원 수익을, 정기예금은 702만원의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당연히 배당수익률이 약 7%인 SK텔레콤 투자가 정기예금보다 높은 연간수익률을 보이는 것이 당연합니다. 약 552만원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SKT의 주가가 변동이 없다는 전제, 배당수익도 일정하다는 전제입니다.


4. 추가 가정사항을 넣는다면

이제 추가적인 질문이 생깁니다. 앞에서 말도 안되는 가정을 흔들어서 만약 배당주의 주가가 변한다면 투자 성과는 어떻게 될 것인지? 그리고 배당받은 금액을 주식에 재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현금자산으로 보유하는 전략을 가져가는 경우에 얼마나 수익률이 차이가 날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이런 부분들은 다음 포스팅에서 더 자세히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K텔레콤 ’23년 2분기 배당금 확정

통신사 중에서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는 SK텔레콤의 2분기 배당, 자기주식 매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K텔레콤 (종목번호 017670) 2분기 배당금 발표되었습니다. 통신 3사 중에서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는 SK텔레콤 배당정책, ’23년 분기 배당금 지급일, 자기주식 매수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SK텔레콤 배당금액

SK텔레콤 배당정책, 배당락

SK텔레콤 배당 정책은 과거 중간배당, 연배당으로 1년에 2번 배당을 지급하였으나, 중간 배당금은 1,000원 결산 배당금은 9,000원으로 연간 합산 1만원이었기 때문에 중간배당은 의미가 없고 사실상 1년에 한번 배당하는 것과 다름이 없었습니다. 그렇게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하였는데, ’21년 11월에 SK텔레콤이 SK스퀘어와 인적분할(자회사 SK하이닉스를 분할하기 위함)을 결정하면서 SK텔레콤은 배당정책을 분기배당으로 변경하였습니다.

SKT 연간 배당금액

현재 SK텔레콤 연간 배당 합계 금액을 주당 3,320원 수준으로 설정한 것 같습니다. ’22년 이후 분기단위로 830원을 동일하게 지급하고 있습니다.

’23년 7월 27일 SK텔레콤 공시한 내용에 의하면 ’23년 2분기 배당금액도 기존과 동일하게 주당 830원으로 결정하였다고 공시하였습니다. 배당금 지급 총액(전체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금 합산액)은 1,813억원이고, 배당금 지급기준일은 ’23년 6월 30일이라고 합니다. 배당금 지급기준일은 해당일자에 SK텔레콤의 주주명부에 등록되어 있는 주주에게 배당금액을 지급하는 기준일자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증권사를 통해서 SK텔레콤의 주식을 매수할 경우 ’23년 6월 28일까지 매수체결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증권사를 통해서 주식을 매수할 경우 매수하자마자 바로 주주명부에 등재되는 것이 아니라 2 영업일 이후 실제 대금지급 등 거래체결이 완료되고 주주명부에 등록이 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6월 29일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없어지는 ‘배당락’일이 되는 것입니다. 배당락일에는 매수할 경우에 배당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배당락일에는 전일 대비 주가가 내려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SKT 23년 배당금 지급일

SK텔레콤 ’23년 배당금 지급일

’23년 1분기 배당금 지급기준일 : ’23년 3월 31일
실제 배당금액 지급일자 : ’23년 5월 10일

’23년 2분기 배당금 지급기준일 : ’23년 6월 30일
실제 배당금액 지급일자 : ’23년 8월 11일 (금) (확정), updated


’23년 3분기 배당금 지급기준일 : ’23년 9월 30일
실제 배당금액 지급일자 : ’23년 11월 10일 (예상)
배당을 받으려면 주식 매수체결은 ’23년 9월 27일까지 해야 함

’23년 4분기 배당금 지급기준일 : ’23년 12월 31일
실제 배당금액 지급일자 : ’24년 4월 19일 (예상)
배당을 받으려면 주식 매수체결은 ’23년 12월 28일까지 해야 함

SKT 자기주식 매수 공시

SK텔레콤 자기주식 매수 공시 (’23년 7월 27일)

SK텔레콤은 금번 배당금액을 공시하면서 ‘주식 소각 결정’ 공시도 같은 날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주요사항보고서를 통해서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결정’도 공시하였습니다.

공시의 주된 내용은 3,0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24년 1월까지 매수하겠다는 내용이고, 그 중에서 약 2,000억원 규모의 주식을 소각한다는 내용입니다. (이사회 결정)

자기주식을 취득해서 소각할 경우, 주식시장에서 SK텔레콤의 유통주식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게 됩니다. 또한 주식수를 줄이게 되면 장기적으로도 SK텔레콤 입장에서는 배당지급 총액이 줄어드는 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주당 분기별로 830원씩 똑같이 지급하더라도, 배당을 지급해야 하는 주식의 숫자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대략 소각되는 SK텔레콤 주식 숫자가 430만주라고 하니 총 주식의 약 1.96%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이를 소각할 경우, SK텔레콤이 매년 지급하는 배당금 총액에서 약 140억원 가량 지급액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주주 입장에서도 이런 자기주식 매수 및 소각은 주주환원정책 중의 하나로 주가 측면에서나 배당측면에서나 긍정적인 이벤트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다른 배당주의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 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 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수정일

Optimized by Optim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