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부 바이백 프로그램

미국 재무부의 바이백(buyback) 프로그램은 이전에 이미 발행했던 국채를 다시 매입하는 것입니다. 아직 만기가 도래하지 않은 채권을 회수하는 것입니다. 바이백 프로그램을 왜 시행하는지, 바이백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재무부의 바이백(buyback) 프로그램은 이전에 이미 발행했던 국채를 다시 매입하는 것입니다. 아직 만기가 도래하지 않은 채권을 회수하는 것입니다. 바이백 프로그램을 왜 시행하는지, 바이백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바이백 프로그램 목적

미 재무부는 본인이 발행한 채권을 이름 그대로 (buy-back) 다시 사들이는 것입니다. 몇 가지 이유를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국가 부채의 만기 구조를 조정하고, 재정운영의 유연성을 높이는 등 재정정책 관리의 목적이 있습니다.

둘째, 시장에 이미 거래 중인 국채에 대하여 유동성을 공급하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국채를 너무 많이 발행하게 되면 금융시장에서 참여자들이 더 이상 국채를 살 수 없게 된다면 (즉, 유동성에 문제가 생긴다면) 이를 해소할 필요가 있습니다.

셋째, 재무부는 기존의 고금리의 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회수하고, 저금리의 채권을 발행하여 이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론 고금리에서 저금리로 시장 전체의 분위기가 바뀌는 경우에 실행이 가능합니다.

바이백을 어떻게 실행하는가?

우선 재무부는 바이백을 실행한다는 내용을 정하고, 사전에 공고를 합니다. 특정 만기의 국채, 즉 어느 시기에 발행하여 만기가 언제 돌아오는 국채인지, 대략적인 바이백 규모는 어떤지, 어느 기간 중에 사들일 계획인지 등등을 상세하게 공고하게 됩니다.

그 후에 기일이 되면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재무부의 입찰 요청에 응하여 가격을 제시할 수 있으며, 재무부는 가장 유리한 조건의 국채부터 우선적으로 매수하게 됩니다.

바이백 국채의 만기 대상에 따른 영향은?

미 재무부는 바이백, 사서 없애는 국채의 만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 표에서 보면 잔여 만기가 5년 미만인 국채, 지금 기준 2029년까지 만기가 있는 국채의 바이백 규모는 약 $6.5 billion 수준입니다. 총 $15 billion 규모와 비교한다면 약 43% 수준입니다.

나머지 57%는 더 장기인 국채를 바이백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만기가 많이 남아 있는 장기성 국채를 바이백 하는 경우, 장기 금리가 하락하게 됩니다. 장기금리가 하락한다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나, 기업 관련 대출 등 장기 자금을 필요로 하는 곳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이자율 곡선 (수익률 곡선) 평탄화가 되면서, 은행들의 이자로 인한 마진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나 재무부가 장기 국채를 매수한다면, 이는 재무부가 장기금리를 낮추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에는 Positive Signal 로 해석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주식 및 부동산의 가격 상승을 부추키는 요인이 되어 자산 버블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만약 재무부가 바이백을 할 때, 만기가 짧은 국채를 주로 많이 사들인다면 단기 금리가 하락하게 됩니다. 단기 유동성과 관련한 증대 효과가 생겨서 단기적으로 소비와 투자를 늘릴 수 있으나,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무엇인지, 목적 그리고 양적완화 대비 차이점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Operation Twist)는 중앙은행이 단기국채를 매도하고, 장기국채를 매수하여 장기금리 인하 유도하는 정책이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Operation Twist)는 중앙은행이 단기국채를 매도하고, 장기국채를 매수하여 장기금리 인하 유도하는 정책이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존 F 케네디 시절에 처음 실시되었다고 합니다. 단기 채권, 장기 채권의 엇갈리는 모습이 트위스트(춤)와 닮았다는 이유로 이렇게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목적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목적 양적완화와 비슷합니다. 단기 채권 금리상승, 장기 채권 금리하락을 통해서 이자율 곡선을 평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시중의 유동성을 공급하게 됩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GFC, Global Financial Crisis) 때 1차, 2차 양적완화 시행하고 나서 부족했는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다시 시행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정식 명칭은 Maturity Extension Program 이었습니다. 즉, 만기연장 프로그램이라는 의미입니다. 중앙은행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었던 단기국채를 매도합니다. 그래서 확보된 자금으로 시중에 널려 있는 장기국채를 매수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장기국채의 공급보다 수요가 증가하니, 장기국채의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장기국채의 가격상승은 바로 장기국채의 금리하락을 뜻하므로, 장기금리 인하라는 목표를 달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장기금리가 인하한다면, 시중의 시장금리도 장기금리 중심으로 인하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시중의 유동성이 늘어나게 됩니다. (정부, 기업, 가계 등) 모든 경제주체는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는 양적완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중앙은행이 가지고 있는 자산의 구성을 바꾸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가지고 있는 단기채권을 매각 후 시중의 장기채권을 매수하기 때문입니다. 즉,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시행한다면, 중앙은행이 이를 위해서 추가적인 유동성을 공급하지는 않습니다. 중앙은행이 가지고 있는 채권자산의 만기를 늘리는 효과만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양적완화(QE)와 비교했을 때, 금융시장에 미치는 효과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하여 시중에 직접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자산)이 증가하게 됩니다.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의미가 반드시 단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경기침체가 걱정되는 상황이라면 직접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 정책보다는 유동성에 영향은 주지 않지만 금리를 낮출 수 있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연합뉴스(출처)의 자료입니다. 미국 연준의 자산 규모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국채 및 MBS를 시장에서 계속 사들여서 보유하게 된 자산의 규모를 뜻합니다. 이런 채권들이 만기가 도래하면 미국 연준은 만기도래시 받게 되는 현금으로 다시 채권을 사게 된다면 자산규모를 유지하면서 계속 양적완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만기도래시 받게 되는 원금을 재투자하지 않고 연준이 흡수하게 된다면, 자산규모를 축소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관련하여 간단히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양적완화와 비슷하나, 약간 다르다. 양적완화보다는 효과가 약할 수 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정부당국이 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은행이 실시하는 것이다. 중앙은행이 보유 중인 단기채를 매도하고 그 자금으로 시중의 장기채를 매수하여 장기채의 금리를 떨어뜨리는 작업이다.

Optimized by Optim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