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알글로벌리츠 배당수익률은 9%가 넘는 고수익 리츠 상품입니다. 어떤 기초자산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24년 상반기 배당금 및 배당수익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 납입자본금이 9,600억원이 넘는 대규모 리츠입니다. 배당수익률은 9%가 넘는 리츠로 수익률이 좋습니다. 기초자산은 벨기에 및 미국 뉴욕의 부동산에 투자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 설립하여 5년차에 접어든 리츠입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 24년 상반기 배당금 및 연간 지급일정, 배당수익률을 알아보겠습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 기초자산은?
제이알글로벌리츠 24년 상반기 배당금
벨기에 브뤼셀과 뉴욕 맨하탄에 오피스 빌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벨기에 정부기관을 임차인으로 두고 있어서 장기간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 24년 상반기 배당금
리스크 요인은 무엇인가?
차입금 차환시 조달금리 상승 등이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해외 상업용 부동산의 가치하락에 대한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당분간은 벨기에 정부기관을 임차인으로 두고 있어서 생각보다 안정적이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 상반기 배당금
재무실적
최근 신용평가회사인 한기평(한국기업평가)에서 제이알글로벌리츠의 회사채 관련한 신용등급 평가가 있었습니다. 무보증 회사채의 신용등급은 Single A- (outlook 안정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아래 재무실적을 살펴보면 최근 24.3월까지 총 자산은 소폭 증가추세에 있으며, 투자부동산의 가치도 소폭 증가하는 형태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입금이 작지 않은 상황인데, ’24년말에 리파이넨싱(조달 및 차환)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 과정에서 그 동안 상승한 금리 impact을 받지 않을까 조심스레 걱정하고 있습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 상반기 배당
출처 : 한기평 신용평가서 (‘24.5.31. 제이알글로벌리츠 홈페이지 공시)
영업수익은 600억 이상으로 소폭 증가하고 있습니다. ’24년 3월까지 실적도 302억이니, 아마도 반년치로 환산하면 ’24년 상반기도 600억은 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EBITDA도 상반기 480억 수준이 기대되므로 아마도 실적은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 상반기 배당금
제이알글로벌리츠 ’24년 상반기 배당금
제이알글로벌리츠의 ’24년 상반기 배당금은 주당 195원으로 추정합니다. 작년말 배당금이 195원이었고, 최근 실적을 봐도 아직은 그 배당금액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해 봅니다.
아래 표는 ’23년 상반기, 하반기 배당금 및 지급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24년 상반기 배당금 및 ’24년 하반기 배당금 추정치를 반영하여 배당수익률을 계산하였습니다.
’24년 상반기 배당락 전일자 주가를 기준으로 본다면 연간 배당수익률은 약 9.56% 수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맥쿼리인프라 어떤 회사인지 알아보고, 주요투자자산과 배당금 히스토리, 주가와의 관계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최근 발표한 유상증자 주요 내용과 신주발행 일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맥쿼리인프라 어떤 회사인지 알아보고, 주요 투자자산과 배당금 히스토리, 주가와의 관계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최근 발표한 맥쿼리인프라 유상증자 주요 내용과 신주발행 일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맥쿼리인프라 유상증자
맥쿼리인프라 개요
맥쿼리인프라(088980)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집합투자업/신탁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 회사의 정식명칭은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입니다. 설립일은 2002년 12월 12일이고, 상장은 2006년 3월 15일에 하였습니다.
투자대상 및 자본금
맥쿼리인프라의 투자대상은 민투법(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서 허용하는 국내 인프라 관련 자산입니다. 주로 도시철도, 고속도로, 터널, 대교, 도시가스 등에 투자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국내 사회기반시설 총 17개에 투자하고 있음(13개 유료도로, 1개 항만, 1개의 도시철도, 2개의 도시가스로 구성)
발행주식총수는 2023년 3월말 기준, 총 404,845,547주입니다. 그리고 자본금은 2조 4,489억원입니다. 신용등급은 AA0 입니다(’23년 3월말 기준, Issuer Rating, 회사채 등급 모두 동일)
맥쿼리인프라 투자대상
맥쿼리인프라 주요 투자처
맥쿼리인프라 주요 투자자산 현황
맥쿼리인프라는 아래 그림을 보시는 바와 같이 유료도로 63%, 항만 10%, 철도 3%, 도시가스 24% 포트폴리오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대표적으로 잘 아는 것은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 서초구에 있는 우면산터널, 광주 순환고속도로, 서울/춘천 고속도로, 부산신항만 등 입니다. 전국적으로 사회기반시설에 잘 투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맥쿼리인프라 배당금, 분배금
맥쿼리인프라 배당금(분배금) 및 주가
맥쿼리인프라는 매년 2번씩 배당금(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통상 2월말, 8월말에 배당금이 입금이 되는데요, 최근 ’23년 2월에는 주당 39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배당 히스토리
최근 10년간 배당지급 히스토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2016년부터는 매년 배당금액이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 2014년, 2016년에는 전년보다 적은 배당금이 지급된 적도 있었음을 기억해야 할 것 같습니다.
맥쿼리인프라의 주가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그림은 2015년부터 2023년 최근까지의 주가차트입니다. 중간중간 소폭의 등락은 있었지만, 대부분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5년에는 대략 6천원대 수준의 주가였으나, 최근에는 약 1.2만원으로 2배 정도로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2014년 배당금이 약 400원 수준이었으나, 최근 배당금은 800원에 약간 못 미치는 770원까지 성장한 것과 유사한 성장 패턴으로 절대적으로 배당금 증가와 주가가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맥쿼리인프라 유증
맥쿼리인프라 유상증자 관련
이제는 최근 (’23년 6월 27일)에 발표한 유상증자와 관련한 내용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맥쿼리인프라가 작성한 투자설명서에 의하면, 금번 유상증자로 신규 조달할 금액은 약 3,900억원 수준입니다(정확히는 3,882억원).
유상증자 대금 사용처
이 유상증자 대금을 확보하면 맥쿼리인프라는 ’22년에 차입하여 이미 투자한 ‘인천/김포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에 지출한 1,280억원 관련 차입금을 상환하는데 사용하고, ’23년 7월에 투자할 ‘씨엔씨티에너지(주)’에 1,867억원을 투자하는데 사용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씨엔씨티에너지는 대전시, 계룡시에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회사로 자산 7,349억, 매출액 8,972억 규모라고 합니다. 씨엔씨티에너지로부터 배당수익은 최소 6% 이상이 되는 구조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유상증자는 주주배정 방식으로 대략 10주당 약 0.7주 정도 배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약 300주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22주를 받을 수 있는 신주인수권을 주었습니다. (대충 계산해보면 4억주 *0.075 = 30,000,000주가 신주로 발행되고, 주당 약 12,550원을 계산하면 총 3,765억원 수준이 도출됩니다)
유상증자 향후 일정
맥쿼리인프라의 유상증자는 7월 27일에 최종 발행가액이 정해지게 되고, 8월 1일~2일에 기존 구주주들로부터 신주인수에 관한 청약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기존 주주 중에서 신주를 인수하지 않는 남은 실권주에 대해서 일반공모 청약을 진행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지금이라도 신주 인수가격이 저렴하다고 판단이 된다면 HTS에서 맥쿼리인프라 신주인수권을 매수하면 됩니다. 약 125원 수준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신주인수권을 매수하는데 125원 투자, 그리고 신주인수가(최종 발행가액)로 맥쿼리인프라 신주를 매수하면 됩니다.
그러나 가격에 대한 불확실성이나, 하락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 굳이 신주인수권까지 매수하면서 신주를 받을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냥 시가로 매수하면 됩니다. 신주인수대금은 8월 9일에 납부하면 됩니다. 그러면 8월 21일에 신주가 증권계좌로 입고가 되고, 거래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맥쿼리인프라 유상증자와 관련한 향후 전망
맥쿼리인프라는 지금까지 4번에 걸쳐서 유상증자를 진행해 왔습니다. 일반 기업들의 유상증자는 통상 주가의 하락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맥쿼리인프라의 경우에는 불확실한 사업을 위한 유상증자가 아닌 명확한 투자대상과 해당 투자대상의 수익성 분석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렇게 투자유치를 하는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하였고, 실제로 그 이후에 계속적인 배당금(분배금)의 증가로 그 성과를 입증하였습니다.
그래서 맥쿼리는 사실 유상증자에 실패한 적이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20년에도 17% 이상의 초과 청약을 달성하였고, 2021년에도 초기 모집금액 대비 초과 청약 24%를 달성한 바가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투자를 권유하는 문서가 아닙니다. 맥쿼리인프라의 전자공시, 투자설명서, 관련 기사 및 경제/재무 관련 지식을 통하여 작성한 스터디용도의 글이오니 이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다시 알려드리오니 꼭 투자 전 여러 문서와 자료를 검토하셔서 성공투자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