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지주 24년 2분기 배당금 (24년 연간 배당금, 지급일정, 자사주 매입)

하나금융지주 24년 1분기, 2분기 배당금, 지급일정 살펴보겠습니다.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연말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수익률 얼마나 기대할 수 있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하나금융지주 24년 1분기, 2분기 배당금, 지급일정 살펴보겠습니다.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연말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수익률 얼마나 기대할 수 있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출처 : hisnomad.com, ‘23.11월 작성 / ’24년 2월 update 보완

하나금융지주 주가 흐름

위의 포스팅에서 문구 중 일부를 다시 소환하면….

그 이후 하나금융지주의 주가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예전보다 주가 레벨이 상당히 올라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파이넨스

하나금융지주 재무실적 및 배당성향

최근 3년 (’21년, ’22년, ’23년)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하나금융지주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3조 5,260억(’21년), 3조 5,524억(’22년), 3조 4,217억(’23년)으로 크게 변동이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배당총액은 9천억 초반대에서 9,767억, 9,798억으로 9천억대 후반까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현금배당성향은 작년 기준 2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주주환원정책

하나금융지주는 다수의 금융자회사들에게서 받는 배당금이 수익이 되며, 은행/증권/보험 등 각 자회사들은 금융당국이 제시하는 적정자기자본 비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을 제외한 잉여자금을 기반으로 하나금융지주에 배당하게 됩니다.

하나금융지주의 배당금은 결국 자회사들의 실적(이익), 그리고 자본적정성 규제에 따라서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주주환원정책은 보통주자본비율 13~13.5% 구간에서는 전년대비 증가한 자본비율의 50% 해당하는 만큼 주주환원 재원으로 사용 + 보통주자본비율 13.5% 초과하는 부분은 모두 주주환원 원칙

그리고 중장기 주주환원율 목표를 50%로 설정하고 점진적으로 늘리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주주환원율은 앞서 이야기한 배당성향에 자기주식 매입 등 규모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24년 상반기 배당금액, 24년 연간 배당 지급일정

하나금융지주 24년 1분기는 600원을 5/10일에 지급완료하였습니다. 2분기 배당금도 아마도 600원으로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7월 중 이사회를 통해서 확정짓고, 8월 초에 지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출처 : hisnomad.com

전년과 동일하게 주당 3,400원 수준, 또는 그 이상 3,500원까지 배당금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럴 경우 최근 2분기 배당락 전일 주가 기준을 본다면 시가배당수익률은 5.62%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 주가가 4만원 수준일 때 매수해서 지금까지 매도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다면, 평가이익도 많이 있겠지만 배당액 대비 투자금액이 낮기 때문에 배당수익률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마도 낮은 금액에 투자하셨다면 굳이 다른 주식으로 변경할 이유도 없을 것으로 보이는 좋은 주식이라고 생각됩니다.

하나금융지주 배당금 히스토리 (2025년 추정,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하나금융지주 매년 2회 배당을 시행하고 있었지만 2023년부터는 분기단위로 배당을 하고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배당 23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는 동일한 금액을 배당하였고, 4분기 배당은 큰 금액을 배당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updated : 2025. 1. 1

하나금융지주 배당금 업데이트 합니다. ’24년 4분기 배당금액 및 배당기준일 모두 미확정입니다. 결산 배당기준일은 기존에는 매년말 12/31일이었으나, 이제는 이사회에서 정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번 결산기말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일은 ’25년 1월 하순 이후 공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보통 배당기준일 최소 2주 전에 공시해야 하므로 배당기준일은 2월 중순 이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나금융지주 최근 매년 배당금 아래와 같습니다. 2021년 3,100원, 2022년 3,350원, 2023년 3,400원 이었습니다. 2024년은 아직 4분기 배당이 미확정이므로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아마도 연간 합산 3,500원 수준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4년은 아래 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증가한 3.8조원 수준일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당 연간 3,500원 수준의 배당은 전년기준으로 보더라도 크게 문제가 없는 수준입니다.

하나금융지주 배당 관련 연간 기준표

(하단은 과거 글입니다. 지속 업데이트 중입니다)

—————————————(’24. 2. 4 update)———————————–

우리금융지주 8.60%, 신한지주 6.97%, KB금융 5.30% 시가 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매년 2회 배당을 시행하고 있었지만 2023년부터는 분기단위로 배당을 하고 있습니다. 4대 금융지주 모두 분기배당 하고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배당 23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는 동일한 금액을 배당하였고, 4분기 배당은 큰 금액을 배당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23년 하나금융지주 배당결정 업데이트 (’23년 4분기 배당금액 결정)

작년 11월에 작성했던 표는 아래에 있습니다. ’23년 11월 20일 기준 하나금융지주의 주가는 41,600원이었습니다. 그 이후에 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24년 2월 2일 기준 주가는 55,900원입니다. 무려 34.4% 상승하였습니다.

주가가 상승한 것은 실적도 있겠지만 최근에 있었던 3,000억원 의 주식소각 결정(‘24.1.31) 영향이 큽니다. 회사가 3,000억원의 재원을 들여서 회사의 자기주식을 매수한 후에 주식을 소각해 버린다면 결국 유통되는 주식의 절대적인 수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주가는 당연히 상승하게 됩니다.

주식을 매수하는 기간이 ’24년 2월 7일 부터 ’24년 8월 7일까지 6개월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큰 이슈가 없는 이상 하나금융지주의 주가는 현재 수준에서 크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이 되네요

’23년 하나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23년 4분기 추정치 포함)

하나금융지주 주가 흐름

하나금융지주 주가는 2020년에 최저가 18,450원 내려갔다가 서서히 회복하여 2023년 최근에는 약 4만원 초반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2022년, 2023년 연중 높은 가격대는 약 5만원을 상회하는 수준이었습니다. 네이버 증권에 나오는 정보를 기준으로 보면 최근 PER 약 3.2배, EPS 1.3만원 수준입니다. PBR 약 0.31배로 다른 은행권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배당수익률은 8%대로 정보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주가 차트 (출처 : 네이버 증권)

하나금융지주 배당

하나금융지주 ’23년 배당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올해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1~3분기까지는 모두 주당 600원을 배당하였습니다. 결산(4분기) 배당은 1,550원 수준으로 배당하게 된다면 합산하여 ’22년(작년) 연간 배당금액(3,350원)과 동일하게 됩니다. 네이버 증권_FN가이드에서 추정한 현금DPS가 ’23년말 기준 3,528원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런 추정이 맞다면 최근 주가 기준 하나금융지주의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8.05%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0년, 2021년, 2022년 하나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하나금융지주 과거 3년간 배당 히스토리를 살펴보겠습니다. 2020년~2022년까지 모두 중간배당을 시행하였습니다. 매년 2회 배당금을 지급하였습니다. 다만 상반기 배당은 적게, 하반기 배당은 크게 지급하는 형태였습니다. 상반기 배당금액은 ’20년 500원, ’21년 700원, ’22년 800원으로 매년 상향해 왔습니다. 하반기 배당금액은 ’20년 1,350원, ’21년 2,400원, ’22년 2,550원으로 이 역시 매년 상향해 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은 연말 주가 기준, ’20년 5.16%, ’21년 7.05%, ’22년 7.40%을 기록하였습니다. 최근 주가 기준으로는 약 8% 수준이 기대되고 있으니 배당수익률 역시 매년 상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나금융지주는 결산 배당금액을 익년 4월 12일 또는 4월 13일 경 지급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4년 4월에는 약 10일 경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습니다. 본 배당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12월 배당락 전일까지 매수해야 합니다.

KB금융 ===>>> 배당 내역 확인하기

신한지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우리금융지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삼성전자 ===>>> 배당 확인하기

SK하이닉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 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 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우리금융지주 배당금 히스토리 (2025년 추정,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KB금융 약 5.30% 수준의 시가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고, 신한지주 약 6.97% 시가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음을 알아보았습니다. (배당주 투자 카테고리 내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금융지주 주요 메이저 은행권 지주사로 분기배당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 주가 12,320원 기준 약 8.60% 시가배당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updated : 2025. 1. 1.

우리금융지주 배당금 업데이트 합니다. ’21년 연 1회 배당 360원, ’22년 연 2회 배당 합계 900원 배당하였습니다. ’23년에는 분기배당을 도입하였고, 연간 1,000원을 배당하였습니다. ’24년에는 4분기 결산 배당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연간 배당금액을 알 수 없지만, 전년도 수준을 고려하면 약 1,180원의 배당금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4분기 배당기준일도 기존 연말(12/31)에서 변경되어 ’25년 2월 이후로 정해질 것을 보입니다. 최근 공시된 내용에서도 ’25년 2월 이후 개최될 이사회에서 결정 후 공시한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4분기 배당금을 수령하게 될 기준일은 2월 이후가 될 것이므로 보통 12월말에 오던 배당락일은 2월 이후 어느날이 될 것입니다.

’23년 4분기 배당 관련 기준일은 ’24년 2월 29일로 정해진 사례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리금융지주 연간 배당금 내역 및 배당성향

과거 글은 지우지 않고 계속 업데이트 합니다. 참고하세요.

——————– Updated : 2023. 12. 8. ———————-

KB금융 약 5.30% 수준의 시가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고, 신한지주 약 6.97% 시가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음을 알아보았습니다. (배당주 투자 카테고리 내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금융지주 주요 메이저 은행권 지주사로 분기배당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 주가 12,320원 기준 약 8.60% 시가배당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3년 우리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23년 4분기 추정치 포함)

우리금융지주 주가 흐름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2022년 4월에 최고점 16,350원을 찍고 나서 10,000원에서 13,000원대에서 등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주가 기준 PBR은 0.3배를 기록하고 있고, PER도 약 3배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한지주의 PER는 약 4.1배이고, PBR은 0.35배입니다. 이에 비하면 우리금융지주의 멀티플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네이버증권 – 우리금융지주 주가 차트)

우리금융지주 배당

우리금융지주 ’23년 배당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분기부터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2분기/3분기 모두 주당 180원을 배당하였습니다. 결산(4분기) 배당은 아마도 700원 수준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해 봅니다. 이는 작년 연간 배당금액(1,130원)과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산출한 배당금액이니 단순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네이버 증권_FN가이드에서 추정한 현금DPS가 ’23년말 기준 1,059원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런 추정이 맞다는 전제하에 최근 주가 기준 우리금융지주의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8.55%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0년, 2021년, 2022년 우리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우리금융지주 과거 3개년 배당 히스토리를 정리하였습니다. 2020년에는 연말 주가 기준 배당수익률이 불과 3.55% 수준에 불과하였습니다. ’21년부터 주주환원 관련한 요구에 부응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중간배당을 시작하였고 배당금액도 주당 360원에서 900원으로 대폭 상승하였습니다. ’22년에는 1,130원을 배당하여 배당수익률이 8.69%까지 상승하여 고배당주 대열에 합류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금융지주는 결산(4분기) 배당금액을 보통 4월 중순에 지급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마도 ’24년에는 4/12일에 배당금을 입금해주지 않을까 추정해 봅니다. 결산 배당을 받기 원한다면 올해 12월 배당락 전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KB금융 ===>>> 배당 내역 확인하기

신한지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하나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삼성전자 ===>>> 배당 확인하기

SK하이닉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 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 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신한지주 배당금 히스토리 (2025년 추정,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KB금융 배당 못지 않게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한지주 2020년에는 연배당을 하였습니다. 2021년 2분기부터 분기배당 도입하여 현재는 매년 4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신한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살펴보고자 합니다. 최근 주가 35,000원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5.79%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한지주 배당금 히스토리 연간으로 다시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25년 추정 배당금은 배당성향을 23.26%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배당금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이 21년 4.1조원 수준에서 ’24년 추정 4.8조원으로 EPS는 9천원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만약 ’25년 1분기 실적에 따른 분기배당금액이 주당 580원 수준으로 결정/지급된다면 연간 약 2,320원으로 ’25. 1. 2일 종가 47,750원 기준 배당수익률은 4.86% 수준을 기록할 것입니다.

—-updated : 2023. 12. 8—————————-

KB금융 배당 못지 않게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한지주 2020년에는 연배당을 하였습니다. 2021년 2분기부터 분기배당 도입하여 현재는 매년 4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신한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살펴보고자 합니다. 최근 주가 35,000원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6.97%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수정/업데이트, ‘23.11.24] 최근 주가 36,950원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5.79% 수준입니다.

’23년 신한지주 배당 히스토리 (’23년 4분기 추정치 포함)

신한지주 주가 흐름

신한지주 주가는 2014년에서 2020년까지 35,000원에서 55,000원 박스권 사이에서 움직였습니다. 코로나 대폭락 시기에 최저가 21,850원을 기록하였다가 다시 급반등하여 45,000원선까지 올랐었습니다. 지금은 33,000원에서 36,000원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최근 금리가 높은 상황이라 은행/금융 관련 주가가 나쁘지 않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신한지주 배당 히스토리)

신한지주 주가

(출처 : 네이버증권 – 신한지주 주가 차트)

신한지주 배당

신한지주 ’23년 배당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분기 부터 3분기 까지 동일하게 주당 525원을 배당하였습니다. ’22년에는 분기당 400원을 배당했었습니다. 작년 대비 무려 31.25% 인상하여 지급한 것입니다. 신한지주 배당 스타일은 3분기까지는 동일한 금액을 지급하고, 결산 배당(4분기) 지급시에 사업 성과에 따라 추가로 배당을 더 지급하고 있습니다. [추가 11/24 업데이트] 신한지주 최근 추정실적(네이버/Fn가이드 참조)으로는 ’23년 현금DPS가 2,169원입니다. 따라서 4분기 배당 지급 추정액을 당초 865원에서 565원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최근 주가가 소폭 상승하여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5.79%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23.11.24 / 수정 업데이트 후)

(‘23.10.27 분석일 / 업데이트 전)

신한지주 배당

’23년 4분기는 ’22년 4분기와 동일한 금액을 가정하여 계산하였습니다. 그렇게 가정할 경우 연간 2,440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것입니다. 최근 주가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시가 배당수익률은 거의 7%에 달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23년 4분기 결산 배당금은 얼마나 될까요? 과연 추정한대로 작년 수준으로 나올지 궁금합니다. 작년 2022년 당기순이익이 4조 7,321억원이었습니다. 올해 ’23년 마감 추정 당기순이익은 작년 수준이거나 살짝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닝 쇼크가 있지 않는 이상 작년 수준의 배당은 무난히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작년에 현금DPS 보다 배당금액이 소폭 더 지급된 것으로 보입니다. 보수적으로 작년 수준의 배당을 기대할 수 있을지 살펴봐야 합니다.

’20년 ~ ’22년 신한지주 배당 히스토리

과거 3개년 신한지주 배당 히스토리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그 내용을 잘 살펴보면 신한금융지주의 배당이 어느 정도 수준이고 수익률은 어떠한지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신한지주의 연간 배당금액은 ’20년 1,500원, ’21년 1,960원, ’22년 2,065원을 기록하여 3년 연속 상향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2021년에 분기배당을 도입하였습니다. KB금융 도 ’21년에 중간배당, ’22년에 분기배당을 도입하였습니다. 신한지주가 분기배당을 더 먼저 도입하였습니다.

배당수익률은 ’20년 연말 주가 33,500원 기준 4.48%를 기록하였습니다. ’21년에는 연말 주가 38,150원 기준으로 5.14%를 기록하였습니다. ’22년에는 연말주가 37,600원 기준 5.49%를 기록하였습니다. 배당수익률도 계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신한지주 배당히스토리

[다른 금융 배당주의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B금융 ===>>> 배당 내역 확인하기

하나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우리금융지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통신주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기타 배당주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삼성전자 ===>>> 배당 확인하기

SK하이닉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 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 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수정일

KB금융 배당금 (2025년 추정,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은행주는 대표적인 배당주입니다. KB금융은 2020년에는 연배당, 2021년에는 중간배당을 실시하였습니다. 2022년 이후로는 본격적으로 분기배당으로 전환하여 1년에 4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KB금융 배당 히스토리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최근 주가 56,600원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5.30%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updated : 2025. 1. 4.

KB금융 배당금 연간 히스토리 재정리합니다. 그리고 2025년 배당금 추정도 해보았습니다. 꾸준히 배당금 성장하고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분기배당을 22년부터 시행하였습니다.

금리인상기에 대부분의 금융회사들이 그렇듯이 KB금융도 지속적인 당기순이익 증가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24년에는 당기순이익 5조원 시대를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배당성향을 26% ~ 30% 수준에서 고려한다면, ’25년에는 주당 약 4천원 수준의 배당을 주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그럴 경우 ’25년 1월 2일 주가 83,400원 기준 배당수익률은 약 4.80%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보입니다.

—–updated : 2023. 12. 8 ————-

은행주는 대표적인 배당주입니다. KB금융은 2020년에는 연배당, 2021년에는 중간배당을 실시하였습니다. 2022년 이후로는 본격적으로 분기배당으로 전환하여 1년에 4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KB금융 배당 히스토리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최근 주가 56,600원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5.30%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KB금융 배당 히스토리

’23년 KB금융 배당 히스토리 (3~4분기 추정 포함)

KB금융 주가 흐름

KB금융의 2015년 이후 주가 차트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 상승, 이후 최저가 25,850원까지 하락하였습니다(2020.3.30. 코로나 사태).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최근 고금리 기조하에서 5만원 이상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증권 – KB금융 주가 차트)

KB금융 배당

KB금융지주는 ’23년 배당 내역을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23년 1분기 주당 510원을 배당하여 5/11일에 지급하였고, 2분기 배당도 주당 510원을 8/8일에 지급하였습니다.

4분기는 ’22년 4분기 배당금액 1,450원 수준과 유사하게 약 1,500원으로 가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근거는 네이버 증권의 FN가이드의 ’23년 현금DPS 3,331원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따라서 그렇게 가정할 경우에 최근 주가(10/16) 56,600원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5.35% 수준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최근 주가(11/20) 53,900원 기준 시가 배당수익률은 약 5.62%입니다.

’23년 10월 24일 공시(배당결정공시)에 의하면 KB금융지주는 2023년 9월 30일 기준 3분기 배당금액을 510원으로 확정하였습니다.(하단 표는 기존 자료입니다. 미확정이 확정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업데이트 후)

(업데이트 전)

KB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20년 ~ ’22년 KB금융 배당 히스토리

과거 KB금융 배당 히스토리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2020년 이전에는 연 1회 배당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중간배당을 도입하여 연 2회 배당하였습니다. 2022년부터는 분기배당을 도입하여 연 4회 배당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연간 배당금액이 주당 1,770원으로 연말 주가 기준 3.88%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주당 2,940원을 지급하여 배당수익률 5.18%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2021년과 유사하게 주당 2,95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그러나 연말 주가가 소폭 하락하였기 때문에 연말 주가 기준 배당수익률은 5.73%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KB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하나금융지주 배당 히스토리

신한지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우리금융지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다른 배당주의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SK텔레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KT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LG유플러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맥쿼리인프라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삼성전자 ===>>> 배당 확인하기

SK하이닉스 ===>>> 배당 히스토리 확인하기

[배당 관련하여 함께 읽은 좋은 글들]

배당기준일 뜻 알아보고, 언제까지 배당주를 사야 하는지 ?? ===>>> 읽으러 가기

배당주 투자의 장점 및 단점은? ===>>> 읽으러 가기

금리, 원달러환율, 주식 삼각관계를 알면 수익이 보인다 ===>>> 읽으러 가기

제이알글로벌리츠 ’23년 상반기 실적 및 배당금 ===>>> 확인하기

최종수정일

Optimized by Optimole